사회적 일자리 6,000명 규모로 확대
등록일 : 2006.01.04
미니플레이
사회적 일자리 확대와 함께 NG0와 기업, 지방자치단체가 협력하는 대규모 사회적 일자리 창출 프로젝트 사업이 추진됩니다.
지난해 3천 9백여 명에게 제공됐던 사회적 일자리가 올해는 6,000명 규모로 대폭 확대됩니다.
사회적 일자리 사업은 비영리단체가 취업이 어려운 중장년 여성과 장기실업자 등을 고용해 독거노인과 장애인, 저소득층에게 간병과 가사, 산후 조리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정부가 1인당 70만원의 인건비와 사회보험료를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노동부는 일자리 규모의 확대와 함께 사회적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한 프로젝트 사업과 광역형 지원을 통해 사회적 기업으로의 전환 기반 마련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프로젝트 사업은 NGO와 기업, 지자체가 상호 협력과 역할분담을 통해 대규모로 사회적 일자리를 창출하는 모델을 공모합니다.
프로젝트 사업은 장기적으로 사회직 기업으로의 전환을 지향하는 제도로
노동부는 선정된 사업에 대해 3년 동안 60억원 한도에서 예산을 지원할 방침입니다.
아울러 광역형 사업을 통해 기업연계가 어려운 경우 지역조직이 있는 NGO나 컨소시엄을 구성한 NGO를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사회적 일자리 창출 사업에 참여를 원하는 NGO는 다음달 6~15일까지 구비서류를 갖춰 각 지방 노동관서에 제출하면 됩니다.
사회적 일자리 창출사업을 통해 저소득층에 대한 사회 서비스 제공이 확대되고 취업 취약 계층에게는 일자리 기회도 늘어날 것으로 전망됩니다.
지난해 3천 9백여 명에게 제공됐던 사회적 일자리가 올해는 6,000명 규모로 대폭 확대됩니다.
사회적 일자리 사업은 비영리단체가 취업이 어려운 중장년 여성과 장기실업자 등을 고용해 독거노인과 장애인, 저소득층에게 간병과 가사, 산후 조리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정부가 1인당 70만원의 인건비와 사회보험료를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노동부는 일자리 규모의 확대와 함께 사회적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한 프로젝트 사업과 광역형 지원을 통해 사회적 기업으로의 전환 기반 마련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프로젝트 사업은 NGO와 기업, 지자체가 상호 협력과 역할분담을 통해 대규모로 사회적 일자리를 창출하는 모델을 공모합니다.
프로젝트 사업은 장기적으로 사회직 기업으로의 전환을 지향하는 제도로
노동부는 선정된 사업에 대해 3년 동안 60억원 한도에서 예산을 지원할 방침입니다.
아울러 광역형 사업을 통해 기업연계가 어려운 경우 지역조직이 있는 NGO나 컨소시엄을 구성한 NGO를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사회적 일자리 창출 사업에 참여를 원하는 NGO는 다음달 6~15일까지 구비서류를 갖춰 각 지방 노동관서에 제출하면 됩니다.
사회적 일자리 창출사업을 통해 저소득층에 대한 사회 서비스 제공이 확대되고 취업 취약 계층에게는 일자리 기회도 늘어날 것으로 전망됩니다.
KTV 국정와이드 (3회) 클립영상
- 유시민의원, 보건복지부 장관 내정 48:35
- 정·재계,양극화해소 노력 48:35
- 방위사업청 공식출범 48:35
- 6자회담 조기재개 외교력 집중 48:35
- 폭설피해지역에 다음주부터 복구지원금 지급 48:35
- 2006년을 선진 금융의 기틀을 다지는 원년으로 48:35
- 2006년 부동산시장은 하향 안정세 48:35
- 주택공급대책 보완, 청약제도 개선등 추가대책 발표예정 48:35
- 송파 신도시 건설 유보 적절치 않다. 48:35
- 사회적 일자리 6,000명 규모로 확대 48:35
- 불공정하도급 신고센터 6일부터 운영 48:35
- 전세보증금 우선변제 금액 확대 48:35
- 신용카드 `돌려막기` 거의 사라졌다 48:35
- 올해 유통산업 8.2% 성장 전망 48:35
- 소방방재청 등 채용시 신체조건 제한 폐지 48: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