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 토론회 바로가기

공통뷰

KDI 경제동향
등록일 : 2008.01.07
미니플레이

한국개발연구원 KDI가 오늘, 최근 경제동향을 발표했습니다.

고유가와 국제금융시장 불안 등 대외 여건이 좋지 않은 상황인데, 어떻게 나왔는지 궁금합니다. 취재기자 연결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유진향 기자>

Q1> 대외여건이 그리 좋지가 않습니다.

경제동향, 어떻게 나왔습니까?

A1> 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부정적인 대외여건들 속에서도 실물 경기는 아직까지 견실한 모습을 나타냈습니다.

KDI가 오늘 발표한 경제동향에 따르면 11월 중 산업생산지수는 9월과 10월의 9.2%보다 확대된 10.8%의 증가율을 보였습니다.

부문별로는 반도체와 IT, 자동차 부문의 생산 증가세가 전달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는데요, 선박과 기계장비 등 기타 부문의 생산이 다소 확대되면서 증가세를 이끌었습니다.

11월 중 서비스업활동지수도 금융.보험업과 보건.사회복지사업 등의 호조에 힘입어 7.8%의 높은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다만, 높은 생산 증가세와 함께 재고 증가세도 점진적으로 확대되고 있어, 앞으로 경기 확장세에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입니다.

내수항목 중 소비 증가세는 소폭 둔화됐습니다.

11월 중 소비관련 지표들의 증가세는 소폭 둔화됐고, 그동안 증가세를 이어가던 소비자기대지수도 고유가 등 대외여건이 반영돼 하락했습니다.

수출의 견실한 증가세에도 불구하고 지난달 무역수지는 적자로 반전됐습니다.

12월 중 수출은 일반기계와 석유화학, 석유제품 등이 호조를 보이며 15.5%의 견실한 증가세를 지속했는데요.

그러나 고유가로 원유 수입액이 급증하면서 전체 수입이 24% 증가해 수출 증가세를 넘어섰습니다.

한편 12월 중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6%로 경기 상승세에 다소 부담이 될 것으로 우려되는 만큼, 보다 적극적인 물가관리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