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개발연구원 KDI가 이번달 경제동향을 내놨습니다.
고유가와 국제금융시장 불안 등 대외 여건이 좋지 않지만, 실물경기는 아직까지 견실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유진향 기자>
높은 국제유가와 세계금융시장의 불안 등 연초부터 우리 경제를 둘러싼 대외여건이 좋지 않은 상황입니다.
그러나 KDI는 '1월 경제동향' 보고서를 통해, 어려운 여건에도 불구하고 실물경기는 여전히 견실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지난해 11월 중 산업생산지수는 한 해 전보다 10.8% 상승해, 9월과 10월의 9.2%보다 높은 증가율을 나타냈습니다.
서비스업활동지수도 금융.보험업과 보건.사회복지사업 등의 호조에 힘입어 7.8%의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그렇지만 높은 생산 증가세와 함께 재고도 점진적으로 확대되고 있어, 향후 경기 확장세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KDI는 지적했습니다.
내수항목 가운데 소비 증가세는 소폭 둔화됐습니다.
11월 중 소비관련 지표들의 증가세가 주춤했고, 그 동안 증가세를 이어가던 소비자기대지수도 고유가 등 대외여건이 기대심리를 낮춰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다만, 설비투자가 증가로 반전됐고 선행지표도 높은 증가세를 유지하는 등 투자관련 지표들은 상당한 개선이 기대됩니다.
지난해 12월 수출은 일반기계와 석유화학, 석유제품 등이 호조를 보이며 15.5%의 견실한 증가세를 지속했습니다.
하지만 고유가로 원유 수입액이 급증하면서 전체 수입이 24%나 증가해, 지난달 무역수지는 적자로 반전됐습니다.
한편, 12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6%로 나타나 경기 상승세에 다소 부담이 될 것으로 우려되는 만큼, 보다 적극적인 물가관리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출발! 국정투데이 (500회) 클립영상
- 인수위, 지방 투기지역 전면 해제 1:31
- 힐 차관보, 오늘 방한 1:59
- 인수위, 산업은행 민영화 추진 1:15
- 인수위, 대북사업 효율성 따라 차별추진 2:05
- 적극적인 경제계와의 만남 1:28
- 자금난 해소 관심 2:02
- 개성공단 생산액 150% 증가 2:02
- 남아프리카와 FTA 추진 0:38
- 어려움 속 견실 1:57
- 밀린 대금 신고를 1:37
- 재해보상 강화 32:49
- 쌀, 보고 고른다 2:09
- PKO 상비군, 국제사회 요청에 신속 대응 1:58
- 새해에도 '1339' 2:44
- 친절하고 빠른 대한민국 KISS와 만나다 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