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에 관한 궁금증을 속시원히 풀어보는 ''경제 돋보기'' 시간입니다.
연초부터 물가 불안이 가중되고 있습니다.
물가 상승의 원인은 무엇이고, 또 대책은 어떻게 준비되고 있는지, 박영일 기자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앵커> 지난해 말부터 물가가 크게 올라서연초에도 상승세가 계속되고 있죠?
기자> 네, 그렇습니다.
우선 물가를 나타내주는 몇 가지 지표를 살펴보겠습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한 해 전에 비해 3.6%가 올랐습니다.
실례로 자장면 가격이 최근 3천원에서 3천 5백원으로 올랐구요, 휘발유가격도 지난해 1월 리터당 1400원대에서 최근 1647원으로 껑충 뛰었습니다.
여기에 지난달 생산자물가가 한 해 전보다 5.1%, 수입물가도 15.6%나 올랐습니다.
문제는 수입물가 상승이 한두달 시차를 두고 생산자물가와 소비자물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인데요,
한국은행의 분석에 따르면 수입물가가 10% 오를 때 생산자물가는 2.9%, 소비자물가는 1.8% 상승유발 효과가 나타납니다.
앵커> 네, 지표상으로만 봐도 많이 올랐군요.
그런데, 장바구니 물가와 같이 실제 피부로 느껴지는 물가 상승폭이 지표보다 더욱 크다고들 하는데, 그런 차이는 왜 생기는 건가요?
기자>네, 말씀하신 것처럼 주부들이 시장이나 마트에서 장을 볼 때 느끼는 물가 상승폭은 더 클텐데요,
우선 소비자 물가지수는 식료품부터 자동차, 집값 등 489개 품목을 대상으로 가격 변동을 조사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주부들의 장바구니 물가는 대체로 쌀이나 라면, 쇠고기나 세제 등 자주 구입하는 생필품 가격의 변동에 따라 체감폭이 결정됩니다.
따라서 이처럼 구입이 잦은 152개 생필품에 대해서는 지난 1998년부터 ''생활물가지수''라는 이름으로 따로 발표되고 있습니다.
지난달을 예로 들면 소비자 물가지수는 일년전에 비해 3.6% 상승한 반면,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는 4.8% 올라 상승폭이 더 큰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앵커> 그렇군요. 앞으로도 물가상승 압력은 계속될텐데, 이 처럼 물가가 상승하는 원인은 어디에 있습니까?
기자> 네, 물가상승 요인은 크게 수요측면과 비용측면으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즉, 늘어나는 수요에 비해 공급이 따라가지 못할 때 소비자 물가가 오르게 되고요,
또 원자재 가격과 임금 상승이 생산비용에 반영되면서 생산자 물가가 상승하게 되는데요,
최근의 물가 상승은 수요확대보다는 비용측면이 원인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전문가의 말을 직접 들어보시겠습니다.
앵커> 이렇게 물가가 오르면 아무래도 경제 전반에 부담이 될텐데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우선 물가가 오르게되면 소비가 위축되고, 우리나라 경제성장의 든든한 버팀목인 수출도 둔화될 수 있습니다.
수출기업의 경우 원자재 값 상승으로 생산원가는 높아지는데 환율 하락으로 실제 수출가격은 낮아지는 효과가 나타나면서 채산성이 크게 악화되고 있습니다.
특히, 물가불안에 따른 인플레이션 기대심리가 자리잡게 될 경우 경제에 미치는 악영향은 더욱 커질 것으로 우려되고 있습니다.
전문가의 얘기를 직접 들어보시겠습니다.
앵커> 네, 경기침체로 성장률까지 위협받을 수 있다는 얘긴데요, 물가 안정대책은 어떻게 마련됐습니까?
기자> 네, 물가 상승의 원인이 비용측면, 즉 수입원자재나 국제 유가 상승과 같은 대외적인 요인들이기 때문에, 사실상 우리 내부에서 근원적인 방법을 찾아낼 수는 없습니다.
한국은행이 물가 안정을 위해 콜 금리를 인상할 수 있지만, 이 또한 근본적인 효과를 기대할 순 없습니다.
전문가의 말을 들어보시겠습니다.
따라서 정부의 대책은 외부적 상승요인들이 우리 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쪽으로 집중되고 있는데요.
지난 15일에 범정부 차원으로 꾸려진 물가안정대책반도 이 부분에 주목했습니다.
우선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국내 물가상승 압력을 줄이기 위해국내 석유제품의 가격이 크게 오를 경우엔 휘발유와 경유 등 석유제품의 할당관세를 낮춰 시장개방을 확대해나갈 계획입니다.
이렇게 되면 국내 정유사들도 일정폭은 석유제품의 가격을 내릴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
마찬가지로 국제 곡물가격이 급등할 경우 수입곡물의 할당관세를 인하해 국내가격 인상압력을 줄이고, 원자재의 경우는 정부 비축물량 방출을 늘리는 등의 방법으로 수급불안을 해소해나갈 계획입니다.
기자>이와함께 상반기중 전기료와 광역상수도요금 등 중앙공공요금이 동결되고
일정기간 공공요금 상한을 미리 설정하는 요금 상한제를 올해 안에 도입해 공공요금
상승에 따른 물가상승 요인을 최소화해 나갈 계획입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국정와이드 (4회) 클립영상
- 지분형 주택분양제도 도입 1:52
- 새만금, 경제중심도시로 추진 1:43
- 북핵 완전해결 노력 2:05
- 李 당선인 국회 방문 국정협조 요청 0:27
- 인수위, 금산분리 등 금융규제 완화 가속 0:30
- 설 물가 잡는다 1:42
- 생계안정 지원 2:05
- 수산물 원산지 특별단속 실시 2:31
- 물가지표와 체감물가, 왜 다른가? 6:24
- 소음피해 배상 확대 1:50
- 안전의식이 우선 2:47
- 송파신도시 국민임대축소 1:28
- 행복을 배달합니다 4:03
- 각국 기후변화 대응 3:04
- 세계가 놀란 태안 자원봉사 행렬 2:10
- 베이징올림픽 준비, 태릉은 지금 8:04
- 설연휴 추가 열차표 22일부터 판매 0:28
- 고교생 올해부터 수준별로 시험 0:26
- 지난해 월평균 임금총액 261만원 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