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 토론회 바로가기

공통뷰

물가지표와 체감물가, 왜 다른가?
등록일 : 2008.01.17
미니플레이

경제에 관한 궁금증을 속시원히 풀어보는 ''경제 돋보기'' 시간입니다.

연초부터 물가 불안이 가중되고 있습니다.

물가 상승의 원인은 무엇이고, 또 대책은 어떻게 준비되고 있는지, 박영일 기자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앵커> 지난해 말부터 물가가 크게 올라서연초에도 상승세가 계속되고 있죠?

기자> 네, 그렇습니다.

우선 물가를 나타내주는 몇 가지 지표를 살펴보겠습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한 해 전에 비해 3.6%가 올랐습니다.

실례로 자장면 가격이 최근 3천원에서 3천 5백원으로 올랐구요, 휘발유가격도 지난해 1월 리터당 1400원대에서 최근 1647원으로 껑충 뛰었습니다.

여기에 지난달 생산자물가가 한 해 전보다 5.1%, 수입물가도 15.6%나 올랐습니다.

문제는 수입물가 상승이 한두달 시차를 두고 생산자물가와 소비자물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인데요,

한국은행의 분석에 따르면 수입물가가 10% 오를 때 생산자물가는 2.9%, 소비자물가는 1.8% 상승유발 효과가 나타납니다.

앵커> 네, 지표상으로만 봐도 많이 올랐군요.

그런데, 장바구니 물가와 같이 실제 피부로 느껴지는 물가 상승폭이 지표보다 더욱 크다고들 하는데, 그런 차이는 왜 생기는 건가요?

기자>네, 말씀하신 것처럼 주부들이 시장이나 마트에서 장을 볼 때 느끼는 물가 상승폭은 더 클텐데요,

우선 소비자 물가지수는 식료품부터 자동차, 집값 등 489개 품목을 대상으로 가격 변동을 조사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주부들의 장바구니 물가는 대체로 쌀이나 라면, 쇠고기나 세제 등 자주 구입하는 생필품 가격의 변동에 따라 체감폭이 결정됩니다.

따라서 이처럼 구입이 잦은 152개 생필품에 대해서는 지난 1998년부터 ''생활물가지수''라는 이름으로 따로 발표되고 있습니다.

지난달을 예로 들면 소비자 물가지수는 일년전에 비해 3.6% 상승한 반면,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는 4.8% 올라 상승폭이 더 큰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앵커> 그렇군요. 앞으로도 물가상승 압력은 계속될텐데, 이 처럼 물가가 상승하는 원인은 어디에 있습니까?

기자> 네, 물가상승 요인은 크게 수요측면과 비용측면으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즉, 늘어나는 수요에 비해 공급이 따라가지 못할 때 소비자 물가가 오르게 되고요,

또 원자재 가격과 임금 상승이 생산비용에 반영되면서 생산자 물가가 상승하게 되는데요,

최근의 물가 상승은 수요확대보다는 비용측면이 원인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전문가의 말을 직접 들어보시겠습니다.

앵커> 이렇게 물가가 오르면 아무래도 경제 전반에 부담이 될텐데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우선 물가가 오르게되면 소비가 위축되고, 우리나라 경제성장의 든든한 버팀목인 수출도 둔화될 수 있습니다.

수출기업의 경우 원자재 값 상승으로 생산원가는 높아지는데 환율 하락으로 실제 수출가격은 낮아지는 효과가 나타나면서 채산성이 크게 악화되고 있습니다.

특히, 물가불안에 따른 인플레이션 기대심리가 자리잡게 될 경우 경제에 미치는 악영향은 더욱 커질 것으로 우려되고 있습니다.

전문가의 얘기를 직접 들어보시겠습니다.

앵커> 네, 경기침체로 성장률까지 위협받을 수 있다는 얘긴데요, 물가 안정대책은 어떻게 마련됐습니까?

기자> 네, 물가 상승의 원인이 비용측면, 즉 수입원자재나 국제 유가 상승과 같은 대외적인 요인들이기 때문에, 사실상 우리 내부에서 근원적인 방법을 찾아낼 수는 없습니다.

한국은행이 물가 안정을 위해 콜 금리를 인상할 수 있지만, 이 또한 근본적인 효과를 기대할 순 없습니다.

전문가의 말을 들어보시겠습니다.

따라서 정부의 대책은 외부적 상승요인들이 우리 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쪽으로 집중되고 있는데요.

지난 15일에 범정부 차원으로 꾸려진 물가안정대책반도 이 부분에 주목했습니다.

우선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국내 물가상승 압력을 줄이기 위해국내 석유제품의 가격이 크게 오를 경우엔 휘발유와 경유 등 석유제품의 할당관세를 낮춰 시장개방을 확대해나갈 계획입니다.

이렇게 되면 국내 정유사들도 일정폭은 석유제품의 가격을 내릴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

마찬가지로 국제 곡물가격이 급등할 경우 수입곡물의 할당관세를 인하해 국내가격 인상압력을 줄이고, 원자재의 경우는 정부 비축물량 방출을 늘리는 등의 방법으로 수급불안을 해소해나갈 계획입니다.

기자>이와함께 상반기중 전기료와 광역상수도요금 등 중앙공공요금이 동결되고 일정기간 공공요금 상한을 미리 설정하는 요금 상한제를 올해 안에 도입해 공공요금 상승에 따른 물가상승 요인을 최소화해 나갈 계획입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