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여명의 노동자 목숨을 앗아간 이천 화재사고와 같은 대형 참사가 더 이상 반복돼선 안 될 것입니다.
정부도 사후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안전 불감증으로 인한 산업재해 위험은 여전히 도사리고 있습니다.
이정연 기자>
50여명의 사상자를 낸 이천 냉동창고의 화재사고.
참사가 발생한 지 10일이 지난 지금 사업장들은 산업재해예방에 얼마나 노력하고 있을까?
경기도 의왕에 있는 건설현장을 찾아가봤습니다.
공사 현장에서 준수해야 할 안전관리규칙을 곳곳에서 볼 수 있습니다.
건설현장의 산업재해는 대부분 추락사고.
이 때문에 인명 추락을 예방하는 안전방망과 장비와 건설폐기물이 떨어지는 것을 막기위한 낙하물 방지망은 기본입니다.
아무래도 안전사고에 민감한 대규모 건설현장 이다보니 9월 완공까지 무재해를 목표로 작업이 이뤄지고 있는 것입니다.
신규 입사자가 생기면 개인 보호구를 주고, 적응하기 위한 신규교육을 실시한 후에 현장 투입하고 있습니다. 근로자 개개인이 자신의 안전에 대한 책임을 갖고, 회사에선 안전 시설물을 제대로 설치해서 회사에서 지원을 최대로 아끼지 않아야겠다.
하지만 소규모 영세 사업장은 사정이 조금 다릅니다.
LP 가스통을 고정해야 할 전도방지장치도 없이 가스통이 거의 방치돼 있습니다.
작업을 하다 계단에서 굴러도 안전난간이 없어서 추락사고로 이어지기 십상입니다.
높은 곳에 올라가서 작업을 하다가 떨어져도 받쳐줄 안전방망이 없고 도구가 떨어져도 받쳐줄 안전네트조차 보이지 않습니다.
기본적인 안전장비조차 갖춰지지 않은 가히 무방비 상탭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산업재해의 75%는 50인 미만 소규모 사업장에서 발생합니다.
감독기준을 강화해도 여전히 한해에 8만명이 넘는 노동자들이 산업재해를 입고 재해율도 답보 상태를 보이고 있는 것입니다.
정부는 이천 참사와 비슷한 사고가 재발하지 않도록 사고 위험이 높은 건설현장 500곳을 긴급 점검하는 등 특별 대책에 착수했습니다.
또 전국의 건설업체 공사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순회 교육에 들어갔습니다.
법과 규제가 있더라도 지켜지지 않으면 무용지물입니다.
사회 고질병인 안전불감증, 안전 의식 개선이 사고 없는 일터를 만들기 위한 최선의
예방책입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국정와이드 (4회) 클립영상
- 지분형 주택분양제도 도입 1:52
- 새만금, 경제중심도시로 추진 1:43
- 북핵 완전해결 노력 2:05
- 李 당선인 국회 방문 국정협조 요청 0:27
- 인수위, 금산분리 등 금융규제 완화 가속 0:30
- 설 물가 잡는다 1:42
- 생계안정 지원 2:05
- 수산물 원산지 특별단속 실시 2:31
- 물가지표와 체감물가, 왜 다른가? 6:24
- 소음피해 배상 확대 1:50
- 안전의식이 우선 2:47
- 송파신도시 국민임대축소 1:28
- 행복을 배달합니다 4:03
- 각국 기후변화 대응 3:04
- 세계가 놀란 태안 자원봉사 행렬 2:10
- 베이징올림픽 준비, 태릉은 지금 8:04
- 설연휴 추가 열차표 22일부터 판매 0:28
- 고교생 올해부터 수준별로 시험 0:26
- 지난해 월평균 임금총액 261만원 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