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은 한번 입주하면 장기간 거주하기 때문에 요리조리 살펴보고 꼼꼼하게 선택합니다.
누구라도 녹지 공간이 잘 돼 있고, 바람과 빛이 잘 통하는 친환경적인 집에서 살고 싶을 텐데요, 최근 친환경 주택에 대한 관심과 만족도가 더욱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서정표 기자>
경기도 의왕시 한 아파트 단지.
회색빛 건물 사이로 길다란 냇가가 한눈에 들어옵니다.
곳곳에 조성돼 있는 푸른 녹지 공간은 주민들의 쉼터가 됐습니다.
다른 곳에 비해 조형물도 많고, 친환경적으로 조성된 이 곳 아파트 단지는 지난해 6월 정부로부터 친환경인증을 받은 대표적인 공동 주택입니다.
건축자재 하나에도 신경을 써 인체에 해롭지 않은 마감재를 이용해 새집증후군을 확 줄였습니다.
친환경인증을 받은 주택의 경우 새집증후군 피해 사례는 3%, 일반 주택의 3분의 1 수준에 불과합니다.
이처럼 친환경인증을 받은 공동주택은 전국에 500여곳, 우리나라는 지난 2002년 처음으로 친환경인증제도를 도입했습니다.
하지만 선진국에 비해선 15년 정도 늦은 상황.
이미 영국은 90년부터 우리나라의 친환경인증제도와 비슷한 BREEAM제도를 도입했고, 미국도 지난 93년 그린빌딩 인증제도 LEED를 시행해 친환경 건축물 조성에 힘써왔습니다.
친환경인증제도는 쾌적한 주거환경으로 주민들의 복지를 향상시키기 위해 지난 2002년 도입됐습니다.
90년대 초부터 도입한 선진국과 달리 최근에 들어서야 환경과 복지를 고려하게 된 우리나라.
하지만 정부는 최근 3~4년 사이에 친환경 주택에 대한 주민들의 만족도가 상당히
높은 만큼앞으로 주택뿐 아니라 학교, 주거복합 등 다양한 건축물에 대해서도 확대해
나간다는 방침입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국정와이드 (26회) 클립영상
- 수도권-서울 통근시간 30분 단축 2:19
- 정부조직 '국민 눈높이·국정 효율성'에 초점 1:45
- 대통령 취임식날 경복궁 등 무료개방 0:26
- 17대 대통령 취임 기념우표 25일 발행 0:27
- 한국판 실리콘 밸리 3:20
- 목표 뚜렷한 FTA 1:49
- 17대 국회서 처리돼야 1:42
- 한중FTA 공동연구, 15개 소분야 합의 0:38
- 소비, 생산의 53% 결정 3:56
- 산자부, 자원개발 융자금 3천576억원 지원 2:27
- 남북, 10.3 이행 재확인 1:17
- 남·북·중, 대북 에너지설비 지원 협의 0:31
- 美 외교관 뉴욕필 공연 지원 위해 방북 0:30
- 참여정부 백서 발간 2:20
- 차세대 고등훈련기 부상 1:58
- 친환경 주택 선호 2:29
- 태안주민 건강영향조사 강화 3:49
- 감사원, 내일부터 대대적 암행감찰 0:41
- 지난해 카드 사용 하루 1천만건 돌파 0:29
- 사무직 연봉, 생산직의 1.9배 0:41
- 단독세대도 영구임대 입주 허용 0:35
- 지난해 국민연금기금 운용수익률 6.95% 0:29
- 무주택 서민, 전세자금 보증 이용 증가 0:36
- 우정사업본부, 2008년 '6시그마' 시동 0:32
- 국적은 달라도 우리는 친구! 4: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