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이 취임사에서 강조했듯이 상생의 노사문화 정착은 새 정부의 주요 지향점입니다.
우리나라 노사 문화는 현재 어디쯤 와있고, 또 안정된 노사문화를 이루기 위해선 어떤 과제들이 필요할까요.
이정연 기자>
지난해 노동부가 선정한 노사문화 우수기업인 이 회사는 불과 몇년 전만 하더라도 노사대립과 파업으로 몸살을 앓았습니다.
지난 2000년엔 전면 파업일수가 무려 42일에 이를 정도로 노사 분규가 끊이지 않았던 곳입니다.
불신과 대립, 파업으로 안정을 찾지 못했던 노사는 지난 2006년 분규없는 회사를 만들어 보자며 머리를 맞대기 시작했습니다.
노사는 매주 정기적으로 만나 대화를 나눴고 만남의 횟수가 늘어나면서 불신의 벽은 조금씩 낮아졌습니다.
그리고 그 밑바탕엔 직원들을 진정한 동반자로 생각하는 기업의 신뢰가 있었습니다.
이 같은 노사 상생의 결과는, 3년째 무분규라는 기록과 더불어, 생산성 향상으로 돌아왔습니다.
우리나라의 노사분규는 최근 꾸준히 줄어, 지난해는 115건에 머물렀습니다.
하지만 문제는 파업의 규모가 커지고, 장기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는 겁니다.
특히 대규모 사업장을 중심으로 파업이 늘고 산별 노조 체제로의 전환이 확산되면서 노사불안은 오히려 확산되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지난 2006년 제조업부문의 노사분규로만 3조 324억원의 생산 차질이 빚어졌고 그로 인해 수출차질액만 2조원 가량의 발생했습니다.
여기에 계량화되지 않지만 노사 분규로 인한 대외 이미지 손실도 엄청납니다.
한국의 대립적이고 불안정한 노사 관계는 그동안 외국인들의 투자를 가로 막는 가장 큰 걸림돌로 여겨져 왔습니다.
이런 이유들 때문에 새 정부도 우선 해결과제로 안정된 노사문화 정착을 꼽았습니다.
새 정부는 원칙에 따라 단호하게 대처하면서도 동시에 상생의 노사문화가 정착될 수 있도록 조정자 역할에 주력할 방침입니다.
비정규직이나 소규모 사업장 등 새로운 형태의 노사 갈등도 앞으로 풀어나가야 할 과젭니다.
기업과 직원이 살아남기 위해서 노사 상생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노와 사가 조금씩 양보하고, 정부의 조력자역할이 어느때보다 중요한 이유입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국정와이드 (30회) 클립영상
- 이 대통령,‘경제 살리기’ 주력 2:16
- 대북정책, 생산적인 '실용' 선택 1:48
- 경제 살려 일자리 창출 2:23
- 여성부 장관에 ‘변도윤’ 서울여성플라자 대표 내정 0:46
- 정부직제 확정, 공무원 3천427명 감축 0:30
- 현금영수증 소득공제 대상 확대 2:30
- 기업 체감경기 넉 달 만에 상승 반전 0:36
- 국제 곡물가 급등, 원인과 대책 2:14
- 노사 상생의 길은? 3:42
- 2012 여수세계박람회 지원 특별법 국회통과 1:58
- 출산장려책, 지역이 주도한다 4:42
- 관계개선 '신호탄'? 2:42
- 부시, 한국과의 FTA 비준에 집중할 것 0:35
- 전자여권, 올해 하반기 본격 실시 1:49
- 국립공원, 산불예방 위해 등산로 통제 1:40
- 원자력의 새로운 발견 4:41
- 해외진출 기업 특허소송비용 지원 확대 3:40
- 자동차 리콜 전 수리해도 보상 받는다 0:31
- 몽골에 전자통관시스템 수출된다 0:30
- 배터리 폭발 등 사고제품 강제조사 추진 0:31
- 해외 카드 사용액 6조원 사상 최고 0:33
- 자동차보험 구상금 분쟁심의위원회 4: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