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 토론회 바로가기

공통뷰

불모지 개척
등록일 : 2008.04.10
미니플레이

새 정부 자원외교의 방향을 가늠해보는 연속기획입니다.

오늘은 풍부한 에너지 자원으로 우리나라의 새로운 자원공급원으로 떠오르고 있는 중앙아시아를 살펴봅니다.

김용남 기자>

에너지 수입 의존도가 97%에 이르는 우리나라는 세계 유가 급등으로 인해 에너지 안보가 절실합니다.

더욱이 원유수입의 70~80%를 중동 중심으로 수급하고 있어 이를 보완.대체할 자원 공급처가 필요한 상황이고 이런 가운데 구소련 붕괴 이후 개방된 중앙아시아가 90년대 이후 부상하고 있습니다.

중앙아시아 주요국은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아제르바이잔 4개국으로 세계석유통계(2006)는 이들 국가에서 총 479억 배럴의 석유와 9조800만 입방미터의 가스 매장량을 확인했다고 발표했습니다.

특히 구소련의 석유공급지였던 카자흐스탄의 경우 석유는 약 77년, 가스는 100년 이상 전세계가 사용할 수 있는 양이 매장돼 있는 상태입니다.

하지만 러시아와 마찬가지로 중앙아시아 역시 자원국유화를 강화하고 있어 정부 결정 없이 해외자본이나 민간기업의 자원진출, 개발이 쉽지 않습니다.

정부는 2030년까지 에너지 자주개발률 35%를 목표로 꾸준하게 노력해 왔고, 이런 움직임은 자원외교를 강조한 새 정부 들어 더욱 탄력을 받고 있습니다.

현재 한국컨소시엄과 민간기업은 카자흐스탄 7곳, 우즈베키스탄 3곳, 아제르바이잔 1곳 등에서 유전과 가스전 개발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중앙아시아가 우리나라의 새로운 자원공급처로 떠오르고 있지만 풀어야할 숙제도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중앙아시아산 석유나 가스의 정제비용, 수송인프라, 물류비용이중동산에 비해 경쟁력이 다소 떨어지기 때문에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우선 강구돼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