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속해서 경제 리포트 전해드립니다.
어제가 이명박 대통령이 취임한 지 100일이 되는 날이었죠.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연일 치솟는 국제유가와 곡물가, 원자재가 등 어려운 대외여건 속에도, 이명박 정부는 경제의 기초를 다지는 행보를 계속해나가고 있는데요.
기업 활동을 가로막아온 걸림돌을 없애고, 세제를 개선하는 데 총력을 기울여 온 지난 100일을 정리해봤습니다
이명박 정부의 출범은 곧 경제 살리기 행보의 시작이었습니다.
정부는 성장 잠재력 확충을 위한 규제개혁과 제도정비를 추진함으로써 경제 활성화를 위한 근간을 마련하는 데 총력을 기울였습니다.
측히 정책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기업현장과 민생현장을 샅샅이 돌아보는 발걸음이 이어졌는데요.
8백열다섯개의 규제개혁 과제는 현장의 소리를 적극 수렴하는 바로 이런 노력의 결과였던 겁니다.
여기에 적극적인 감세 정책을 추진해서 잠재성장률 확충을 위한 기반 조성에 주력한 것도 빼놓을 수 없는 내용인데요.
자금 확보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중소기업들을 돕기 위해서, 법인세율을 낮추고 연구개발 시설과 설비투자를 지원하는 정책들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왔습니다.
또한 신성장동력 기획단을 구성해서 후보군을 발굴하는가 하면, 지난 4월에 서비스산업 선진화 방안을 발표하는 등, 미래 성장동력 엔진에 다시금 발동을 걸기 위한 노력도 아끼지 않았습니다.
아울러서, 국제유가와 원자재가의 고공행진 속에 물가 등 서민생활을 안정시키기 위한 정책 추진의 강도를 높여가고 있습니다.
주택담보대출금리와 공공요금의 동결, 그리고 생필품 수급 조절을 위한 비축물자 방출 등, 서민생활 안정을 위한 전방위적인 노력이 계속되고 있는 건데요.
국민을 최우선에 두겠다는 방침에 따라서, 앞으로도 경제정책의 앞머리는 늘 '서민생활
안정'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