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대기업 취업률 상위 10개학과 중 8개가 공학계열
등록일 : 2008.06.05
미니플레이

새 출발하는 노동포커스의 첫 코너는 정책! 현장 속으로입니다.

Q1>신상호 정책리포터, 최근 대학 졸업생들의 취업 동향을 분석한 자료가 나왔다지요?

A1> 네, 한국고용정보원이 대학 졸업생들에 대한 취업 동향을 분석한 자료를 발표했는데요, 어느 과가 취업이 잘되는지, 또 청년 실업 해소를 위한 정부정책은 어떤지 직접 현장을 다녀왔습니다.

Q2> 이태백이니 장미족, 공시족, 이런 신조어들이 이제는 일상어가 되었는데요, 그만큼 청년 취업난이 심각하다는 것이겠죠.

그래서 대학 졸업생들의 취업 동향이라면 관심을 가지지 않을 수 없는 문제인 것 같은데요, 분석 결과가 궁금합니다.

A2> 일단은 4년제 대학보다는 전문대의 취업률이 다소 높았습니다.

학과별로는 공학 계열의 취업률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는데요, 화면보고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대학캠퍼스, 대학생들 모습

2006년 청년층의 실업률은 7.9%로 전체 실업률 3.5%의 두 배 이상입니다.

실업자 수도 36만4000명으로 전체 실업자의 44%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취업을 준비중이거나 그냥 쉬는 이들까지 더한다면 취업을 원하는 청년층의 수는 엄청난데요,

이렇게청년실업이 심각하다보니 어느 과가 취업이 잘되는지는 대학생들에게도 큰 관심사입니다.

최근 한국고용정보원은 대학 졸업생들에 대한 취업 동향을 분석한 자료를 발표했는데요, 먼저 전문대와 4년제 대학의 취업률입니다.

전문대는 82.8%의 취업률을 나타낸 반면, 4년제 대학의 취업률은 77%로 나타났습니다.

전문대의 경우, 현장 실무 위주의 교육으로 전환하는 학교들이 많아지면서 취업률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공학 계열의 경우 전문대와 4년제 대학 모두 공학계열이 평균보다 높은 취업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또한 4년제 대학의 경우, 공학 계열을 중심으로 대기업 취업률이 높게 나타났습니다.

4년제 대학의 300인 이상 사업장 취업 비율을 살펴보면, 의학 계열의 뒤를 이어 기계공항, 전자공학 산업공학 등 공학 계열의 취업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공학 계열 전체로 보면 300인 이상 사업장 취업률은 39.7%입니다. 즉 공대 졸업생 10명 중 4명은 대기업에서 근무하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Q3> 아무래도 대기업에 대한 선호도가 높지 않습니까? 공학 계열 졸업생들의 대기업 취업률이 높은 이유는 무엇일까요?

A3> 네, 연구원은 최근 대기업 제조업 분야에서 일자리가 늘어나고 있는 것을 대표적인 이유로 꼽았습니다.

그리고 공학 계열의 경우, 실무에 관련된 지식을 배우기 때문에 대기업 인사 담당자들의 선호도도 높은 편입니다.

Q4> 아무래도 취업을 잘 하기 위해서는 현장 실무 지식이나 경험 등이 중요하지 않습니까?

이에 대한 정부의 대책은 어떤 것이 있는지요?

A4> 대표적인 것으로 대학취업 지원 기능 확충 사업을 들 수 있습니다.

대학이 운영하는 취업 실무 프로그램에 대해 정부가 지원하는 사업인데요. 현장을 다녀왔습니다.

취업 상담이 한창인 서울의 한 대학교입니다.

전문 상담사가 주기적으로 학생들과 면담을 하면서, 관련 분야 취업에 필요한 정보와 실무 지식을 습득하도록 돕습니다.

또한 학생들과 1대 1상담도 병행해, 해당 학생에게 맞는 취업 전략을 짜는 데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학내 취업 동아리 활동도 활발합니다.

취업을 희망하는 기업의 발전 방향에 대해 발표도 하고, 이에 대한 토론도 진행합니다.

학생들은 이 과정을 거치면서 취업에 필요한 실무 지식과 경험을 습득하게 됩니다.

이 대학은 2007년부터 노동부로부터 취업 정책 운용에 대한 재정 지원을 받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이 대학은 취업 박람회, 취업 캠프 등의 다양한 취업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취업 프로그램이 활성화되면서 학생들의 관심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고 관계자들은 설명했습니다.

노동부는 지난 2006년부터 대학 별로 시행하는 취업 지원 사업비를 지원하는 사업을 시행해왔습니다.

노동부는 올해 전국 200여 개의 대학에 대해, 총 253억원의 예산을 지원할 계획입니다.

또한 지원 대학들에 대해 직장 체험, 취업 교과목 운영 등을 장려하고, 사업 추진 실적 평가 과정을 마련해, 취업 지원 사업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할 계획입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