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이명박 대통령의 6.25 참전용사 위로연 소식 전해드렸는데요, 아시다시피 6.25는 많은 아픔을 가져다 준 게 사실입니다.
이산가족 문제나 국군포로 문제는 아직 완전한 해결을 보지 못하고 있고요.
많은 전사자의 유해가 아직도 유족의 품에 돌아가지 못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유족의 아픔을 조금이라도 달래주기 위한 정부의 전사자 유해발굴 노력을 살펴봤습니다.
6.25로 한국군 13만 명은 전쟁 중 사망했고, 이 가운데 대부분의 유해는 아직도 가족에게 돌아가지 못 한 채 어두운 땅속에 묻혀있습니다.
벌써 50여년의 세월이 흘렀지만 유족들은 유해라도 찾기를 간절히 바라고 있습니다.
정부는 유족들의 이런 아픔을 조금이라도 달래주기 위해 지난 2000년부터 본격적인 유해발굴 작업에 들어갔습니다.
그러나 세월이 흘러 지형이 바뀌고 발굴에 필요한 인력과 장비가 넉넉하지 못해 발굴은 생각보다 더디게 진행되고 있는게 사실입니다.
2000년부터 발굴된 유해는 작년까지 모두 2천5백 구 인데요, 이는 전체의 1.5퍼센트 정도이고, 이 가운데 신원을 확인한 유해는 겨우 42구에 불과합니다.
새 정부는 이런 어려움 가운데서도 전사자 유해발굴에 더욱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습니다.
이명박 대통령은 지난 6일 현충일 추념사를 통해 '나라를 위해 희생된 분들은 국가가 책임진다는 국가 무한 책임의지를 반드시 실천하겠다'면서 유해발굴에 적극적으로 나서겠다는 의지를 강조했는데요, 이것은 한 사람의 전사자 유해라도 더욱 빨리 찾아내 유족의 품으로 돌려보내겠다는 의지를 강하게 나타낸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정부는 25일 열린 58주년 6.25기념식에서도 유해발굴 의지를 재차 강조했습니다.
이같은 정부의 적극적인 의지와 노력으로 이미 올 상반기에 500구의 유해가 발굴됐습니다.
이런 속도라면 작년에 발굴한 유해의 2배인 1000구 이상이 발굴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정부는 유해발굴 작업에 더욱 박차를 가하기 위해 발굴된 유해의 신원을 파악하는 방법인DNA감식에 필요한 전문가를 늘리는 등 추가방안도 적극 검토중입니다.
나라를 위해 싸우다 이름모를 들판과 산에서 목숨을 잃은 6.25 전사자들.
이들의 유해가 하루빨리 유족의 품으로 돌아가길 기대해봅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