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순서 '오늘의 경제 브리핑'입니다.
오늘 나온 정부의 주요 경제 정책과 경제 이슈,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Q1> 최근 식품 안전에 대한 국민들의 불안이 높은데 정부가 이와 관련한 종합적인 대책을 나놨죠?
A1> 그렇습니다.
정부는 오늘 한승수 국무총리 주재로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선진국 수준의 식품안전 종합대책을 발표했습니다.
먹을거리 생산과 식품의 제조 가공, 유통 등 과정별 안전대책이 상세히 마련됐는데요.
먼저 식품위해요인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서 안전식품 제조업소 인증제, 이른바 해썹이라고도 하죠.
이 해썹의 적용 업소를 지금의 410곳에서 4천여 곳으로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이에 따라 2012년에는 전 식품의 95%까지 정부 인증제가 적용됩니다.
정부는 또 농약과 항생제, 발암물질 등 각종 유해물질에 대한 안전기준을 유럽연합 수준으로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Q2> 그런가하면 식품안전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식품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한다구요?
A2> 네, 식품안전과 관련한 부정확한 정보로 불안심리가 확산되는 것을 막기 위한 건데요.
광우병과 유전자변형식품 등 식품안전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제공하는 식품안전정보센터를 설립해 운영하기로 했습니다.
이와함께 고의적인 식품 위해 사범은 최소 3년 이상의 징역형을 선고하는 형향 하한제를 도입하구요.
부당 이득의 2배에서 5배에 달하는 금액을 몰수하기로 했습니다.
정부는 최근 미국산 쇠고기 파동과 조류 인플루엔자 발생 등과 관련한 국민들의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이같은 대책을 마련했다고 밝혔습니다.
Q3> 마지막으로 공정위가 학원비 담합 등 불공정행위 조사를 확대했다는 소식이죠?
A3> 네, 공정거래위원회가 사설학원을 대상으로 학원비의 담합 인상 여부 등에 대한 조사에 착수 했습니다.
대상은 서울과 부산, 대전 등 전국 주요 도시에 있는 규모가 크거나 유명한 30~40개의 보습. 입시 학원인데요.
학원비를 담합해 올린 사실이 있는지, 또 대형 학원에 대해서는 교재비와 보습비를 부당하게 책정했는지에 대해 살펴보고 있습니다.
올 상반기 교육 물가는 지난해 상반기보다 5.5% 올라 소비자물가 상승률 4.3%보다 높았습니다.
공정위는 이밖에 이동통신사와 병원 등 다른 업종까지 현장 조사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올해 들어 물가가 급등하면서 서민들의 고통이 가중되고 있는데요.
공정위가 국민 생활과 직결된 이들 업종에 대해 본격적인 조사를 벌이면서 그
결과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