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속해서 경제 리포트 전해드립니다.
정부가 지난 주에 발표한 식품안전관리 종합대책의 핵심정책 가운데 하나가 바로 식품이력추적 관리제도입니다.
유해식품의 원인을 규명하고 이를 신속하게 회수하기 위한 제돈데요. 정부가 먹을거리 안전에 특히 조심해야 되는 아기 이유식에 대해서 어제부터 시범 실시에 들어갔습니다.
자세한 내용 살펴보겠습니다.
식품이력추적제도의 첫 대상은 영유아용 이유식입니다.
정부는 시중에 출시된 24가지의 영유아용 이유식 제품에 대해서 지금부터 올해 말까지 5개월동안 식품이력추적관리를 시행한다고 밝혔는데요.
그 과정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생산부터 유통단계까지의 전 과정에 RFID, 즉 무선인식칩이 부착돼서 식품의 모든 정보가 식품의약품안전청으로 모이게 되고, 소비자는 식약청 홈페이지에서 실시간으로 식품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겁니다.
이렇게 식품이력정보를 한 눈에 보고 확인할 수 있게 되면 여러가지 기대효과가 예상되는데요.
먼저 식품사고가 나을 때 신속하게 원인을 규명할 수 있고, 이후 빠른 공급차단과 회수, 폐기를 통해서 식품의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습니다.
아울러서 식품이력정보를 소비자에게 정확하게 제공함으로써, 식품안전에 대한 국민들의 신뢰도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정부는 식품이력정보를 소비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킴스클럽과 이마트같은 대형 유통업체에도 시범사업 참여를 유도하기로 했는데요.
이를 위해서 시범 매장 7곳에 RFID 리더기가 부착된 스마트 선반을 설치해서 소비자가 제품을 구매하기 전에 이력정보를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올해 말까지 진행되는 이유식에 대한 시범사업의 결과는 향후 전면적인 확대의 기초자료가 됩니다.
앞으로 국민건강에 파급효과가 큰 식품부터 단계적으로 확대해나가 2013년부터는
모든 식품에 식품이력추적제도를 의무화한다는 것이 정부의 계획입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