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정부, 새로운 지역발전정책 방향 제시
등록일 : 2008.07.21
미니플레이

오늘 나온 정부의 주요 경제 정책과 경제 이슈,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경제팀 / 이해림>

Q1> 오전에 청와대에서 열린 국가균형발전위원회 내용부터 살펴볼까요. 오늘이 첫 회의였죠?

A1> 네. 그렇습니다.

오늘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열린 제1차 국가균형발전위원회는 '지역발전정책 추진전략 보고회'를 겸한 자리였는데요, 회의의 명칭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이명박 정부 지역발전정책의 기본방향을 제시하는 자리였습니다.

회의에서는 무엇보다 기계적인 지역균형보다는 지역의 여건과 특성을 고려한, 즉 특성화된 지역발전이 강조됐는데요.

이 대통령도 실질적인 지방발전을 만들겠다는 게 현 정부의 뜻이고 산술적으로 균형을 만들거나 결과를 균형되게 하는 것은 아니라면서 지역특색에 맞게 차별화되고 발전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자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다만 지난 정부가 내놓았던 각종 지방균형발전 정책의 큰 틀은 원칙적으로 유지한다는 게 기본 방침이라고 덧붙였습니다.

Q2> 오늘 보고회에 맞춰서 각 부처별로도 세부적인 추진계획을 내놨는데, 하나씩 살펴볼까요.

A2> 네, 먼저 지역발전정책의 기본방향은 ‘지방분권’과 ‘특화’, ‘협력.경쟁’ 그리로 ‘광역경제권중심’, 이렇게 크게 네 가지로 요약해볼 수 있는데요.이 기본방향을 토대로 궁극적으로는 전국 어디에 살든지 일자리와 삶의 질이 보장되는 경쟁력 있는 지역을 만들겠다는 구상입니다.

기획재정부와 지식경제부 등 주요 부처의 발표를 보면, 더 구체적인 밑그림이 그려지는데요.

먼저 강만수 재정부 장관은 전 국토, 모든 지역의 성장 잠재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기초생활권과 광역경제권, 초광역개발권으로 나눠서 발전시키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를 현재 7조6천억원 정도인 균형발전특별회계를 9조원 내외로 확대하고, '지역발전인센티브' 제도를 도입해서 기업유치 등 지역발전을 위해 노력하는 지자체에는 일정 금액을 돌려주겠다는 게 핵심입니다.

Q3> 네, 지식경제부와 국토해양부에서도 굵직굵직한 추진계획을 발표했죠.

계속해서 알아볼까요.

A3> 네. 우선 지식경제부는 지방의 기업유치와 투자 활성화에 초점을 뒀는데요.

특히 지방으로 이전하는 기업에게 입지공간 개발권을 부여해서 기업이 원하는 기업환경을 직접 조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혁신도시도 큰 틀의 변화없이 발전적인 보완이 강조됐는데요, 국토해양부는 행정중심복합도시와 혁신도시, 기업도시가 실질적인 성장거점이 될 수 있도록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 가운데 행복도시는 자족적인 기능을 조기에 확충할 수 있도록 다앙한 혜택을 줘서 첨단기업과 대학, 연구소 등의 유치를 활성화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입니다.

Q4> 오늘 나온 내용들이 이명박 정부 지역발전정책의 기본 틀이 될텐데 지방을 돌면서 정책을 설명하는 자리도 마련된다고요?

A4> 네. 정부는 균형발전위원회 주관으로 모레부터 닷새동안 오늘 발표에 대한 지방순회 설명회를 가질 예정인데요, 보다 세부적인 과제들은 지자체와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해서 지속적으로 보완하고 발전시킬 계획입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