쾡가리와, 징, 장구, 북 으로 구성된 사물놀이를 듣다보면 자기도 모르게 고개를 끄덕이며 장단을 맞추게되는데요.
언어와 문화가 다른 외국인들도 사물놀이를 들으면 우리 장단에 빠지게 된다고 합니다.
특히 사물놀이는 우리 전통음악의 세계화에도 큰 가능성을 보여줬는데요, 그 가락에 담긴 우리민족의 신명과 기운, 지금부터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꽹과리, 징, 장구와 북.
네 가지 악기로 가락을 몰아칩니다.
악기를 두드리는 사람과 듣는 사람 모두 장단에 빠져듭니다.
네 가지 타악기로 연주하는 풍물인 사물놀이는 농경사회부터 생활의 일부였던 농악과 판 굿에 흩어져 있던 전통 장단을 모아 다듬어져 완벽한 무대 음악으로 승화했습니다.
1978년 김덕수와 김용배를 비롯한 남사당패 후예들이 창단한 놀이패의 이름인 사물놀이는 어느덧 민족음악을 부르는 말로 자리 잡았습니다.
사물놀이는 꽹과리와 장구가 맞서고 어우러지는 장단을 중심축으로 이뤄집니다.
북은 장단의 기본 틀을 지키면서 장구의 리듬을 받쳐주고, 징의 울림은 꽹과리의 리듬을 부드럽게 감싸며 전체적인 소리의 공간을 만듭니다.
가죽으로 만든, 장구와 북은 땅의 소리를 쇠소리의 꽹과리와 징은 하늘의 소리를 뜻합니다.
이처럼 사물은 음양오행에 뿌리를 잇는 박자를 따르는 전통에서 나왔습니다.
완만했다가 점점 빨라지는 두드림이 정점에 치달을 때까지 청중도 팽팽한 긴장감을 놓을 수 없습니다.
장단을 맺고 푸는 긴장과 이완의 원리에 따라 보는 이의 어깨도 저절로 들썩입니다.
이번엔 한국과 일본, 대만 삼 개국의 소리가 한 무대에서 어우러집니다.
사무라이라는 이 타악 그룹의 이름처럼 힘차고 역동적인 북소리를 선보입니다.
타이꼬가 전통 음악에 현대적인 기법을 접목하며 대중화를 이뤘다면, 대만의 전통 타악인 십고는 3살 아이부터 80대 노인까지 몇 대를 거쳐 단원으로 활동할 만큼 조직적이고 대규모로 이뤄져 전통의 생활화를 꾀했습니다.
꽹과리, 징, 장구와 북으로 두드리는 가락은 국적의 벽을 넘어 어울림의 소리를 만들었습니다.
동력은 사물놀이의 신명이었습니다.
소리 장단은 하나가 되어, 마음의 울림을 냈고 그 흐름은 세계로 향하고 있습니다.
우리 전통문화는 함께 나누고 공존하는 것을 최고의 덕목으로 삼았습니다.
일과 놀이가 하나 되고, 이웃과 내가 하나 되는 우리 정신의 미학이 담긴 사물놀이엔 아주 조용한 움직임 속에 역동적인 힘인 정중동의 멋이 담겨있습니다.
가장 표현력이 강하다는 한국의 가락은 두드림으로 오늘도 세계인의 신명과 기운을
이끌어 냅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