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앞서 정부가 의욕적으로 추진하는 세제 개편안에 관해 자세히 살펴봤습니다.
최근에 일본 정부는 침체된 경기를 되살리기 위해 11조엔, 우리 돈으로 약 110조원을 투입하기로 했는데, 그 핵심은 감세입니다.
일본 외에 최근엔 유럽의 많은 국가들도 해외투자 유치를 위해 감세에 나서고 있는데요.
감세를 통한 경제 살리기, 해외 사례를 모아봤습니다.
최근 11조엔 규모의 경기부양책을 발표한 일본 정부.
경기가 내리막을 걷던 90년대 후반, 이미 두차례에 걸쳐 4조엔 규모의 감세 조치를 취한바 있는 일본 정부는 올해 회계연도 중에 소득세와 주민세의 일정액을 덜어주는 정액 감세를 실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주로 중.저소득층에 혜택을 주는 정액 감세가 생활의 안정과 기업의 기업난 해소에 도움을 줘, 경기를 활성화시키는데 즉각적인 효력을 낼 것이란 판단 때문입니다.
외국인 투자유치의 대표적인 성공사례로 손꼽히는 두바이.
외국 기업에 대한 규제완화와 함께 과감한 감세 정책을 도입한 것이 성공 비결입니다.
얼마 전 미국의 경제전문지 포브스가 세계에서 가장 기업하기 좋은 나라로 선정한 덴마크.
세계적인 경기 침체 상황에서도 낮은 세율의 세금을 부과하는 것이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감세를 통해 대규모의 투자를 이끌어낸 핀란드도 아일랜드에 이어 세 번째로, 기업하기 좋은 나라로 평가받았습니다.
우리나라는 37위를 기록했습니다.
세계 각국은 각종 세제 지원을 통해 경제의 기초 체력을 회복하는 일에 정책 역량을 집중하고 있습니다.
국내외 투자자들이 투자처를 결정하는 주요 잣대가 되는 세율 인하경쟁이,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습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정보와이드 3부 (1회) 클립영상
- 세제개편안, 민생안정과 기업투자 촉진에 초점 04:37
- 불합리·중복 조세체계 개선 02:09
- 투자·소비 촉진 '성장구조 확립' 02:32
- 국민 실생활, 어떻게 달라지나 02:07
- 감세 통한 성장, 세계적 추세 02:30
- 재계, '민생안정·투자촉진 환영' 0:33
- 한-우루과이, '경협 강화' 합의 1:51
- 이명박 대통령 '헌재, 헌법정의 관철 노력해야' 0:39
- '햇볕정책, 생각하는 방향으로 결과 안나와' 0:25
- '전자발찌' 본격 시행 국민 안전 강화 02:46
- 한 총리, '국민불안 해소후 30개월 이상 수입' 0:36
- 상반기 기업 R&D투자 14% 증가 0:22
- 베이징장애인올림픽 선수단 본진 출국 0:26
- 이명박정부 6개월, 결산과 과제 외교안보분야 18:22
- 이명박정부 6개월 결산과 과제 - 경제분야 17:28
- 박효종 교수, 법은 지켜져야 한다 02:07
- 학교가 달라졌다 '고교 다양화 프로젝트' 15:47
- 천연 에너지의 힘! 그린시티를 가다 04:51
- 연말정산과 과오납 환급금 찾기 18:20
- 플러스 덤 04:21
- 오늘의 정책 09:01
- 클릭!퀴즈마당 0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