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편 국제기관인 IMF도 우리 정부의 판단을 강력하게 뒷받침했습니다. IMF 서울사무소의 메랄 카라술루 주한대표는 어제 보도자료를 배포한 데 이어, 오늘 KTV와 단독 전화 인터뷰를 가졌습니다.
카라술루 대표는 9월 위기설은 지나친 과장이며, 지금의 한국경제는 10년 전 외환위기
때와는 다르다고 강조했습니다.
함께 보시죠~
"단기외채 리스크가 과장됐을 뿐이다."
IMF 서울사무소의 메랄 카라술루 주한대표는 시장을 흔들어놓고 있는 9월 위기설에 대해, 지나치게 과장돼 있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카라술루 대표는 KTV와 전화 인터뷰를 통해, 현재 한국경제의 상황을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그 답을 쉽게 찾을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카라술루 대표는 특히, 9월 위기설의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분석의 근거로 한국의 유동성 환율 시스템을 들었습니다.
최근 환율 급등에 대해선 투자심리 악화가 가장 큰 원인이라고 분석하며, 지나친 우려가 피해를 더욱 키웠다고 지적했습니다.
IMF 서울사무소는 하루 전인 3일에도 보도자료를 배포해, 9월 위기설이 과장된 것이라는 의견을 낸 바 있습니다.
IMF 서울사무소는 한국 정부가 리스크를 잘 인식하고 면밀히 주시해 오고 있다고 평가하고, 환율 상승과 경상수지 적자는 국제유가 급등과 교역조건의 침체로 인한 세계경제의 둔화 때문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경상수지 악화가 조정되지 않고 환율에 기인했던 지난 97년의 상황과는 굉장히 다르다고 강조했습니다.
또한 한국의 외채 규모가 수출 규모나 외환 보유액에 비해 유달리 큰 편이 아니라는
점과, 최근에는 외국인들이 한국 국채를 사들이고 있는 점도 긍정적인 요인이라고
밝혔습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정보와이드 3부 (4회) 클립영상
- '한국방문의 해' 추진위원회 발족 0:34
- 정부 '위기설' 적극 대응, 환율 하락 2:38
- IMF ‘한국 위기설 근거 없다’ 2:34
- 3대 신용평가사, 한국 신용등급 유지 0:33
- 금융위원회 ‘환율 급등, 10일 이후 진정’ 0:34
- 무역협회, ‘하반기 국제유가 하향 안정’ 0:28
- ‘방송통신 규제, 과감히 풀어야’ 1:42
- 방송통신 일자리 29만개 창출 2:14
- ‘대통령과의 대화' 미래희망주기 위한 것 0:40
- 김윤옥 여사, 내일 여기자 초청 간담회 0:26
- 김 법무, '불법시위피해 집단소송제 동감' 0:32
- 태권도, 대표 문화자산으로 육성 2:33
- 유 장관, ‘북 핵시설 복구 유감’ 2:13
- 리치(REACH) 사전대응 순항중 1:56
- 강만수 장관, 주부들과 시장 찾아 0:30
- 재건축 후분양제, 이르면 10월 폐지 0:25
- 의사면허시험에 실기시험 도입 0:21
- '새정부의 문화정책 기조와 예술정책' 23:10
- 철학이 빈곤한 시대입니다. 2:16
- '시골학교에 영어열풍 'Talk 프로그램' 12:57
- 새나가는 에너지를 잡아라 5:22
- 3명의 유토피아에서 그린 꿈 6:59
- 청년실업, 맞춤형프로그램으로 해결한다! 21:23
- 플러스 덤 3:30
- 오늘의 정책 15: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