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소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정보통신 환경을 뜻하는 유비쿼터스란 말은 이제 우리에게 점점 가깝게 다가오고 있습니다.
이제는 도시 전체에 유비쿼터스를 적용하는 u시티 사업으로 지역경쟁력을 강화하고 동시에 주민들의 삶의 질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합니다.
정부가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u 시티 14개 과제를 지원대상으로 선정했습니다.
장소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정보통신 환경이라는 유비쿼터스의 뜻에서도 알 수 있듯이, 유비쿼터스 도시인 U-City는 시설물 등 도시의 각종 정보를 실시간 수집해, 이를 통해 도시민에게 다양한 분야의 서비스를 즉시 제공해주는 지능형 도시를 말합니다.
교통 분야의 경우 그동안 도로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교통상황을 사람이 일일이 확인했지만 유시티에서는 도로에 설치된 센서를 통해 도로 정체 등의 교통상황 뿐 아니라 노면상태까지 파악할 수 있어, 자동으로 신호기를 조작하거나 사고 발생시 병원과 경찰에 즉시 신호를 보내는 등 각종 처리가 실시간 이루어집니다.
노인이나 장애인은 생체신호측정기로 수집한 혈압이나 심박 정보가 전문시설이나 병원 등에 즉시 전해집니다.
수치가 급격하게 변했을 경우에는 위치를 파악해 응급조치를 받을 수 있도록 실시간 의료조치까지 가능합니다.
이 밖에도 하천이나 대기 상황을 실시간으로 점검처리하거나 민원처리를 현장에서 즉시 처리하는 등 각종분야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지자체 별로 관련 기반을 마련해왔지만 표준화된 모델이 없어 지자체 간 호환이 어렵고 마구잡이식 개발이 우려되는 상황이었습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u-City 표준모델을 개발해, 인천의 'u-Safety 통합시스템',광주 동구의 '능동형 u-City 안전망 구축' 그리고 충북 청주의 '행정프로세스 융복합 u-지원서비스' 등 14개 과제를 지원 대상으로 선정했습니다.
이렇게 될 경우 지자체간 중복투자를 막고, 상호 호환성이 가능해져 u시티 확대는 한층 더 탄력을 받게 되고, 결과적으로 지역경쟁력 강화와 함께 지역 주민의 삶의 질도 한단계 업그레이드 될 것으로 보입니다.
정부는 이번에 선정된 U시티 추진사업을 내년 4월까지 지역별로 마무리짓고, 이를
바탕으로 표준화된 U시티 서비스를 전국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보와이드 모닝 (12회) 클립영상
- 제63차 유엔총회 개막 0:37
- 서울 - 경기 좌석버스 20일부터 환승할인 0:32
- 유가.원자재값 급락세 0:30
- 리먼 사태, 국제금융 불확실성 완화 2:37
- 리먼 서울지점 영업정지, 검사관 파견 0:33
- 대학자율화, 규제 대폭 완화 2:10
- 'u-City'로 지역경쟁력 강화 2:33
- 복제약 약효 조작시 '과징금 5배' 1:36
- 대한민국 전자무역, 우즈벡 수출 1:42
- 수입물가 1년2개월 만에 하락세 0:24
- 대학생 7명중 1명 다단계 접촉 2:39
- 감사원, 54개 지방공기업 감사 착수 0:23
- '불법 스팸 상설 단속반' 가동 0:34
- 경찰, 전통시장 교통관리 0:29
- 미국발 금융위기에 따른 한국증시 17:44
- 진화하는 도서관 5:28
- 제대군인 일자리 찾기 12:42
- 진정한 소통은 상대방의 입장에서 생각하는 것입니다 2:11
- 문화의 창 41:42
- 플러스 덤 3:20
- 오늘의 정책(전체) 11:36
- 금융위원회 합동대책팀 구성 2:07
- 쌀소득보전법 개정안 의결 2:33
- 두바이유 폭락…86.56달러 0:31
- 장애인올림픽 탁구 금메달 선수에 축전 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