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우리사회를 떠들썩하게 했던 멜라민 사태에 대한 조사가 일단락됐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6일 그동안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이미 밝혀진 대로 멜라민이 검출된 10개 품목에 대해서는 회수·폐기 조치를 했고, 일부 수거하지 못한 제품에 대해서는 계속해서 추적조사를 실시해 유통·판매가 되지 않도록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자세한 내용 전해드립니다.
기자>식품의약품안전청이 유제품을 함유한 중국산 식품에 대한 멜라민 조사결과를 발표했습니다.
428개 검사대상 식품 가운데 402개 품목을 조사한 결과 10개 품목에서 멜라민이 검출돼 회수.폐기조치했다고 밝혔습니다.
212개 품목에서는 멜라민이 검출되지 않아 판매 금지 조치를 해제했습니다.
검사결과 대부분의 제품에서 멜라민이 검출되지 않았지만 일부 제품이 수거되지 않은 148개 품목에 대해서는 안전확보 차원에서 시중 유통.판매를 금지했습니다.
또 수거되지 못한 일부제품에 대해서는 추적조사를 계속해서 실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식약청은 중국산 가공식품과는 별도로 뉴질랜드산 락토페린과 이를 원료로 사용한 제품 등 53개 제품에 대해 검사를 실시한 결과 이유식과 분유.건강기능식품 등에서는 멜라민이 검출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멜라민이 검출된 락토페린 원료 2건과 관련해선 검출 여부와 관계없이 수입된 락토페린 원료 전부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압류.폐기했습니다.
수입 버섯과 채소류 등에 대한 검사에서는 13종 27건을 수거·검사한 결과
모든 제품에서 멜라민이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정보와이드 3부 (25회) 클립영상
- ‘은행 도덕적 해이 엄정히 대응’ 2:21
- '시장 안정, 경제 활성화' 적극 추진 2:03
- 외환보유액 '오해와 진실' 2:13
- 한·중·일 금융정상회담 제안 1:39
- ‘한미FTA, 금융위기 극복에 기여’ 0:32
- 이명박 대통령, ‘독도 양보는 없다’ 0:26
- 국제백신연구소, 김윤옥 여사 후원회 명예회장 추대 0:29
- '복지 사각지대'까지 찾아간다 3:05
- 내년 창업지원 예산 3배로 확대 0:29
- 미수거 제품, 계속해서 추적 조사 2:02
- 선진국 수준 멜라민 대책 마련 2:33
- 학교급식 식재료 원산지 심의 의무화 0:27
- SW 인재 양성, 초·중·고부터 1:46
- 검찰, ‘허위사실 유포·악성 댓글 철저 단속’ 0:28
- 경찰, 사설정보지 집중단속 0:26
- '아시아 청년문화캠프' 참가자 모집 0:33
- 금융公 전세자금 대출실적 사상최대 0:33
- “환율 왜 오르나? 분석과 전망 ” 33:36
- 균형잡힌 역사의식이 필요하다. 2:25
- 마이스터고, 기술전문가의 '요람' 9:08
- 유통업계의 녹색혁명, 그린스토어! 5:33
- 장애아동 재활치료서비스 바우처 확대 실시 6:49
- '다문화 사회,글로벌 마인드를 키우다' 22:49
- 오늘의 정책(전체) 9: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