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차세대 융합형 콘텐츠 육성관련Q&A
등록일 : 2008.10.09
미니플레이

네, 앞서 차세대 융합형콘텐츠 육성전략 소식 전해드렸는데요, 아직까지 융합형콘텐츠 하면 어렵게 생각되는 게 사실입니다.

오늘 현장에서는 관련된 전시회와 시연도 함께 이뤄졌다고 합니다.

현장을 다녀온 김현아 기자와 함께 좀 더 자세한 얘기 나눠보도록 하겠습니다.

Q1>먼저 융합형콘텐츠라는 것이 무엇인지부터 설명해주시죠.

A1> 온라인 게임이나 전자 책, 모바일 콘텐츠 등 IT 기반의 새로운 서비스 산업으로서 디지털 콘텐츠 산업이 급성장하고 있습니다.

콘텐츠 산업은 기존 아날로그의 형태에서 디지털, 융복합 형태로 진화하고 있는데요, 이에 따라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이 등장하고 선진화된 유통구조로 전환되고 있습니다.

실사와 애니메이션의 융합이나 방송과 통신 융합,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융합 등이 모두 융합형 콘텐츠 산업에 속합니다.

융합형 콘텐츠는 IT기술을 바탕으로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되는데요, 현재까지는 오락형 콘텐츠 위주로 성장해 왔지만 앞으로는 지식과 정보, 의료 등 다양한 유형의 서비스를 포함하는 미래형 콘텐츠로 발전할 것으로 보입니다.

Q2>오늘 발표 현장에서는 차세대 융합형 콘텐츠 기술과 관련한 전시회도 열렸죠?

A2> 네 그렇습니다.

제가 전시회에 직접 다녀왔는데요, 화면 함께 보시죠.

디지털 영상제작기술을 활용한 사천왕상인데요, CG로 만들어진 장면을 사실적으로 표현해주는 고품질 렌더링 기술을 활용해 실제과 거의 똑같게 CG로 재현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초상화는 컴퓨터 그래픽 기술을 활용해 그 이미지를 유화나 카툰, 일러스트 등 다양한 예술적 표현기법으로 변환하는 기술인데요, 디지털 기술을 통해 예술적인 감성표현이 가능한 차세대 콘텐츠 제작 기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언제 어디서나 맞춤형 실감 체험학습이 가능한 U-러닝인데요, 3차원 그래픽을 활용해 현실세계와 가상세계를 실제와 같이 접목해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 활용됩니다.

제가 직접 체험을 해봤는데요, 지금 보시는 것은 마이더스의 손입니다.

컴퓨터가 실시간으로 마커를 인식하자 황금색 손 모양이 나타나는데요, 손이 닿는 순간 황금으로 변하게 됩니다.

이 기술은 현재 초등학교 영어 과학수업에 시범적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Q3>네, 그리고 융합형콘텐츠 산업도 크게 봐서는 콘텐츠산업의 일부분인데.

이 콘텐츠 산업이 모든 나라에서 신성장동력으로 삼을 만큼 관심이 높다고 하는데요, 왜 그런지 궁금한데요.

A3>네, 콘텐츠산업은 황금알을 낳는 산업이라고 비유될 정도인데요, 성장속도나 이에 따른 고용창출 규모가 상당히 큽니다.

국내 매출규모도 2000년엔 21조원이었는데 지난해엔 62조원으로 급성장했습니다.

고용도 다른 산업에 비해 높아서 예를 들어 10억원을 투입했을 경우 제조업과 통신업은 채 9명이 되지 않는데 반해 문화콘텐츠산업은 14명에 이를 정도라고 합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세계시장규모도 2012년엔 2조2천억달러,우리돈으로는 무려 2천조원이 훨씬 넘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콘텐츠 분야 세계시장을 점유하기 위한 경쟁이 왜 치열한 지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도 오늘 발표된 계획대로 잘 진행시켜 콘텐츠 5대 강국의 꿈을 달성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