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금융위기 외신보도 '오해와 진실'
등록일 : 2008.10.10
미니플레이

최근 일부 해외언론이 우리나라의 금융위기 가능성을 거론하는 등 부정확하거나 과장된 보도를 내보내고 있습니다.

자칫 외환시장의 불안심리로 이어질까 우려되는 대목인데요.

과연 사실은 어떤지, 금융위기와 관련한 외신보도의 '오해와 진실'을 짚어봤습니다.

인터내셔널 헤럴드 트리뷴은 지난 8일자 기사에서, 한국의 은행들이 1997년 외환위기 때처럼 달러를 빌려 원화로 대출했고 원화가 하락하자 위기를 맞게 됐다면서, 작년 말을 기준으로 한국 은행들의 단기 외화 차입금은 450억달러에 달한다고 보도했습니다.

이 보도의 내용은 과연 사실일까.

금융위원회는 6월말 현재 은행의 원화대출금은 873조원으로, 저축예금(250조원)과 정기예금(364조원) 양도성 예금증서(129조원) 은행채(230조원) 등 주로 원화자금으로 대부분을 조달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게다가 6월말 기준 은행의 외화부채는 2천362억달러, 외화자산은 2천277억달러로 부채와 자산이 엇비슷한 수준이며, 외화로 조달한 자금은 대부분 외화로 운용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런가 하면, 다우존스 통신은 지난 8일 국제 신용평가사 피치가 한국계 은행에 지급불능 징후가 있다고 밝혔다고 보도했습니다.

하지만 이 또한 사실과는 거리가 먼 오보로 밝혀졌습니다.

피치가 해당기사와 관련해, 다우존스 통신의 한국어 번역이 잘못됐다고 우리 정부에 알려온 겁니다.

또 지난 6일 파이낸셜 타임즈는 '한국의 은행들'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한국은 기업과 은행, 가계가 모두 과도한 차입 상태로, 아시아에서 금융위기의 감염 가능성이 가장 높은 국가라고 보도했습니다.

하지만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국내 기업의 부채비율은 1997년 425%에서 지난해 107%로 4분의 1 수준으로 낮아진 반면, 기업 부문의 채무상환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인 이자보상배율은 97년 1.2배에서 지난해 4.1배로 크게 상승했습니다.

또 7월말 현재 일반은행의 예대율은 105.4%로, 은행 부문의 건전성에도 문제가 없는 상태입니다.

또한 한국 가계의 금융자산은 주요국에 비해 예금 현금 등 유동성 자산비중이 높아 채무상환 재원으로 용이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이 금감원의 설명입니다.

정부는 이처럼 근거 없이 위기를 부추기는 해외 언론보도에 대해, 잘못된 보도에 대해서는 해명자료를 내고 필요할 경우 정정보도를 요청한다는 계획입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