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통계로 본 2008년 한국사회
등록일 : 2008.10.20
미니플레이

우리나라 학생들의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우리 국민들은 먹을거리에 대한 불안감이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통계청이 발표한 '사회통계조사'를 통해, 2008년 17일의 대한민국 사회상을 짚어봤습니다.

우리나라 학생의 학교 생활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 비율은 51%로, 4년 전과 비교해 4.5%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학교교육의 효과와 관련한 조사에서는 지식과 기술 습득 측면의 효과가 높다는 답변이 가장 많았고, 인격형성과 국가관, 사회관 정립 등이 를 이었습니다.

교육비 부담에 대해서는 자녀 교육비가 소득에 비해 부담된다고 답한 가구가 전체의 79.8%로, 2000년 이후 계속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습니다.

그러나 이렇게 교육비 부담이 증가하는 상황에서도, 교육기회의 충족도를 묻는 질문에는 자신이 원하는 단계까지 학교교육을 받았다는 사람이 39.9%로, 4년 전보다 8%p 이상 늘어나는 등 꾸준한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사회 안전과 관련한 조사 결과도 발표됐습니다.

최근 멜라민 파동 등 식품 전반에 대한 불신이 커진 가운데, 먹을거리가 불안하다고 답한 사람이 총 조사대상의 69%로, 교통사고나 화재 같은 다른 항목보다 불안 정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성별로는 남성의 경우 16.8%가 경제적 위험을 가장 불안한 요인으로 꼽은 반면, 여성의 경우 22.1%가 범죄발생을 주된 사회 불안 요인으로 생각한다고 답했습니다.

환경문제와 관련해서는 기후변화 65.6%, 황사현상 74.1% 등으로, 환경문제 전반에 대해 대체로 불안함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또한 응답자 중 41.2%가 환경문제 해결에 각종 법률제정과 단속강화 등 정부의 규제가 필요하다고 답했습니다.

이번 조사는 지난 5월 14일부터 9일간 전국의 만 15세 이상 4만2천명을 대상으로 이뤄졌습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