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은 이미 심각한 사회문제가 된지 오래입니다.
특히 우리나라의 자살률은 OECD 국가 중에서 최고라고 합니다.
17일 사회원로와 각계 단체대표들이 자살 없는 건강한 사회 만들기를 위한 대국민성명을 발표했습니다.
17일 행사 소식과 함께 자살률을 낮추기 위한 정부의 대책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지난해 자살로 생을 마감한 사람은 만2천여 명, 하루 평균 34명 꼴로 암과 뇌혈관질환, 심장질환에 이어 네번째로 많은 한국인 사망원인으로 나타났습니다.
실제로 인구 10만 명당 우리나라의 자살증가수은 10년 전보다 배 가까이 늘어난 24.8명으로 OECD국가들 가운데 1위를 나타내고 있고 특히 60세 이상 노인의 자살 증가수는 무려 3배 이상 증가해 그 심각성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여기에 최근 유명연예인들의 잇따른 자살 사망 소식으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는 가운데 종교단체와 시민단체들이 공동대처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나섰습니다.
일부 전문가들은 자살이 정실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만 일어나는 것은 아니라고 강조하고 정부 역시 범부처 성격으로 대책을 마련해 줄 것을 촉구하기도 했습니다.
정부도 적극적인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현재 복건복지가족부를 중심으로 자살예방 5개년 계획을 세우고 관계부처간 협의를 진행하고 있고, 조만간 구체적인 대책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이와함께 청소년을 대상으로 생명존중 교육을 강화하고, 매스컴의 선정적 자살보도와
관련 해서도 지난 2004년 기자협회가 마련한 자율지침의 책임성을 강조하는 등 자살률을
낮추기 위해 전방위적인 정책을 펴 나갈 계획입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정보와이드 3부 (34회) 클립영상
- 금융시장 안정 종합대책 마련 1:51
- 한국 신용등급 잇따라 '유지' 발표 0:35
- 파생상품 감독 개선해 투자자 보호 0:35
- 기술보증, 中企 유동성 지원 특별보증 0:25
- 키코 가입 강요, 적발되면 제재 0:24
- ASEM...금융위기 해법 관심집중 1:45
- 이 대통령, 마이클 포터 미 하버드대 교수 면담 0:30
- 부시, 한미FTA 최우선 과제 0:33
- '유괴경보' 협약 대폭 확대 2:29
- 자살 없는 건강한 사회 2:16
- 통계로 본 2008년 한국사회 2:11
- 전통예술을 관광자원으로 1:55
- 소말리아 피랍 한국인 선원 석방 0:31
- 통일부, 금강산 관광 조기재개 기대 :
- 김숙 본부장, 북한 도울 준비 돼 있다 0:31
- 경유값 1천500원대 진입 '눈앞' 0:30
- 택시 승차거부 신고시 포상금 0:20
- 쌀 직불금관련 담화 2:47
- 국가 암 관리사업, 현황과 과제 30:48
- 한·중·일 금융협의체 필요하다 1:48
- 건전한 인터넷 문화를 만들자 8:34
- 고속도로 휴게소 쓰레기 재활용율 높이기 7:58
- 여성 재취업 돕는 '여성 전문 인력 개발' 26:36
- 온천의 고장, 충남아산으로 떠나는 가을여행 7:14
- 오늘의 정책(전체) 8:40
- 쌀직불금 부정수령액 전액 환수 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