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회가 원화유동성비율 산정과 관련한 규제를 대폭 완화하기로 했습니다.
그렇게 되면 은행이 반드시 맞춰야 할 자금 일정에 여유가 생겨, 자금 운용에 숨통이 트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정부가 최근 금융위기에 따른 은행의 신용경색을 풀어주기 위해 원화유동성비율을 완화하기로 했습니다.
원화유동성비율은, 은행의 유동성 부족으로 경영 건전성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난 99년부터 운영돼온 제도입니다.
원화유동성비율 완화 조치의 핵심은 원화유동성비율 계산방식을 개선하는 것입니다.
원화유동성비율을 산정할 때 현행 잔존만기 3개월 이내의 유동성 자산과 부채를 대상으로 삼던 것을, 앞으로는 잔존만기 1개월 이내로 단축해서 적용하게 됩니다.
7개 시중은행이 자체적으로 추산한 결과, 그렇게 계산했을 때 8월말 기준 원화유동성비율이 13.5%P 상승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정부는 이번 제도 개선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자금시장에 숨통이 트일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와 함께 정부는 증권사와 자산운용사가 유동성 자산을 과다 보유하는 등 비정상적인 자금운용 패턴을 보이고 있는 만큼, 이를 해소하기 위한 지원방안도 마련했습니다.
10월 말 현재 주식형펀드 유동성 자산은 지난 2006년 말보다 5.7%나 늘었고 펀드 은행예금도 35조원이 늘었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유동성 자산 비율이 늘어난 것은 증시불안으로 인해 환매가 증가했기 때문이지만, 증권.자산운용사의 보수적인 자금운용 패턴과도 관련이 있다는 판단입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환매조건부채권 거래 방식으로 약 1조9천억원 가량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정부는 앞으로도 금융시장 전반의 유동성 상황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해, 필요할
땐 적극적인 대응책을 추진한다는 방침입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정보와이드 3부 (42회) 클립영상
- 연말정산 가족 공제자료 절차 간소화 0:28
- 외국인에게도 긴급지원 서비스 0:23
- 금강산 문제, 남북대화하면 해결 0:30
- 내일부터 호국훈련 실시 0:22
- 사교육비 경감 대책 30:07
- 언어의 아름다움 2:56
- 저탄소 경제, 친환경물류가 해답이다! 5:16
- 체불 근로자를 위한 관리구제 방법은 28:50
- 리치, 이렇게 대비하세요 8:26
- 문화의 창 5:17
- 오늘의 정책(전체) 11:25
- 이 대통령, "'비상청와대' 각오로 임해야" 1:51
- 악성루머 불공정행위 최우선 조사 0:34
- 위기극복 종합대책 차질없이 마련 1:44
- 금융 안정때까지 세무조사 전면 유예 2:26
- 원화유동성비율 완화, 은행 '숨통' 2:36
- 정부, 외화예금 일부 원금보장 검토 0:22
- 한은, '10월 경상수지 흑자 전망' :23
- '인류자산 습지' 본격 논의 시작 2:10
- 이 대통령, 국가교육과학기술자문회의 주재 :
- '과거 경험으로 시장 우려 잠재울 것' 0:30
- 취업, 해외로 눈을 돌리자 3:10
- '개인정보보호 의무' 업종 확대 2:26
- 가뭄대책 특별교부세 긴급 지원 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