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고용친화적 정책' 기반 만든다
등록일 : 2008.11.03
미니플레이

최근 어려운 대외여건과 침체된 내수경기로 인해 실업난이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저희 <정보와이드> 에서는 일자리 창출을 위한 연속 기획 보도를 보내드리고 있는데요.

오늘은 정부가 고용친화적인 정책 기반을 만들기 위해 도입하기로 한 '고용영향평가제도'에 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980년대 이후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은 조금씩 하락해온 반면, 취업자 증가율은 눈에 띄게 둔화돼 왔습니다.

취업자 증가율을 경제성장률로 나눈 고용탄성치가 70~80년대 0.41에서 90년대 이후 0.29로 떨어지는 상황은, 성장은 있어도 일자리는 없는 현실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중앙과 지방에서 시행하는 정책들이 보다 많은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도록 고용친화적으로 추진돼야 한다고 판단하고, 그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고용영향평가제도'를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쉽게 말해 고용영향평가제는 어떤 정책이나 제도가 일자리 창출에 얼마나 도움이 됐는지 점수를 매기는 성적표인 셈입니다.

선진국들은 이미 다양한 형태의 고용영향평가제도를 시행해, 고용창출 효과를 기준으로 자금 지원 여부 등을 결정하고 있습니다.

영국은 석탄산업 투자지원제도를 통해 일자리 수와 노동생산성 등을 고려해 신규 일자리 1개당 2만 파운드를 지원하고 있고, 미국도 중소기업 융자 프로그램을 통해 융자금 5만달러당 1개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조건으로 중소기업 융자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올해 안에 고용영향평가제도 도입을 위한 법률 개정안을 국회에 제출한 뒤, 내년 7월부터 제도를 시행할 예정입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