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국제 신용평가사인 피치가 우리나라의 신용등급 전망을 하향 조정한 데 대해서, 정부가 외화차입에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는 소식 전해드렸는데요.
오늘은 피치사의 등급 전망 조정에 대해 국내 증권업계가 일제히 보고서를 통해, 피치의 이번 조치는 납득하기 어렵다며 조목조목 반박했습니다.
자세한 내용 알아봅니다.
피치사가 우리나라의 국가 신용등급 전망을 부정적으로 하향 조정한 이유는 이렇습니다.
글로벌 경제의 부진과 국내 은행들의 유동성 부족, 그리고 부실기업 구조조정의 지연 등입니다.
하지만 이에 대해 국내 증권업계는 일제히 강하게 반박하고 나섰습니다.
삼성증권은 유동성 문제의 경우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이 우리나라보다 더 심각한데, 상대적으로 양호한 한국의 은행들을 문제삼아 신용등급을 낮추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구조조정 문제와 관련해서도 전 세계적으로 과감한 구조조정을 단행하는 곳이 없는데, 한국만 지연된다고 문제 삼는 것은 받아들이기 힘들다고 밝혔습니다.
대우증권도 3대 신용평가사 중 상대적으로 마이너 기업으로 꼽히는 피치사의 신용평가를 신뢰할 수 없다는 견해를 내놨습니다.
피치는 과거 외환위기때도 우리나라의 신용등급을 무려 12단계나 내렸다가, 이후 다시 높일 때는 7계단을 올리는 등 변동성이 매우 컸습니다.
국내 증권업계는 이같은 점을 감안할 때, 피치의 국가등급 전망 하향 악재는 2~3일도 가지 않아 소멸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한편, 김동수 기획재정부 차관은 피치사가 우리나라의 신용등급 전망을 하향 조정한
것으로 인해 다른 평가사들이 영향을 받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생방송 정보와이드 3부 (51회) 클립영상
- 한미FTA 비준 전망 30:31
- 한국인의 경쟁력 2:09
- 수도권 규제 합리적으로 풀었다 7:27
- 농촌에서 희망을 품다 27:37
- 문화의 창 7:31
- 오늘의 정책(전체) 15:45
- 이 대통령 "투자자 입장서 생각해야" 1:54
- 지방 관광·물류단지 개발부담금 면제 1:58
- '납품단가 조정협의 의무제' 도입 1:44
- 여의도 면적 5배 농공단지 추가조성 가능 0:33
- "한미관계 변함없고 더 강화될 것" 2:30
- 증권가 "피치 등급전망 납득 어렵다" 2:12
- 16개 은행, 지급보증 MOU 체결 예정 0:28
- 한은, '키코’피해기업 등 1조원 지원 0:24
- 금감원, 캐피탈社 유동성 지원 추진 0:33
- 한미FTA 재협상 불가방침 고수할 것 0:35
- 학교축구, 지역리그제로 전환 2:17
- 전기·가스료 인상··· 가정용 전기료 제외 2:34
- REACH 등록, 이런 점을 주의하세요 1:46
- '학교자율화' 본격 시행…규제지침 폐지 2:04
- 재해예방예산 7천억원 상반기 집행 0:28
- 장애인·노인 국내여행 지원 0:26
- 광고물실명제 다음달 22일부터 시행 0:25
- 올해 쌀 생산 484만t···4년만에 풍년 0:29
- 수능수험생, 국립국악원 기획공연 무료 0:29
- 중소기업 미지원 은행 제재 검토 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