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2일부터는 전국의 모든 소를 대상으로 사육단계에 대한 '쇠고기 이력추적제'가 시행됩니다.
유통단계까지 적용되는 내년 6월부터는 소비자들이 쇠고기의 원산지, 등급 등의 정보를 휴대전화를 통해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됩니다. 자세한 내용 전해드립니다.
서울의 한 대형마트.
저녁 찬거리를 사러나온 주부들에게, 정육코너의 인기상품은 단연 쇠고기입니다.
본격 시행을 앞두고 있는 '쇠고기 이력추적제'는 소에 일종의 '주민등록'을 부여하는 것으로, 소에 '개체식별번호'를 부여하면, 소가 태어나서 사육과 도축, 가공, 판매에 이를 때까지의 모든 이력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됩니다.
이력추적제가 정착되면, 소가 병에 걸리거나 위생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그 이력을 추적해서 회수·폐기 하는 등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이력추적제 시행에 따른 단계별 과정을 정리해보면, 우선, 소의 소유자는 소가 태어나거나 죽었을 때, 또는 양도·양수한 경우에, 지역축협 등에 30일 이내에 신고를 해야 합니다.
도축업자는 소의 도축신청을 받았을 때 해당 소에 '개체식별번호'를 표시하고, 포장처리업자와 판매업자는 이 '개체식별번호'를 가공한 부분육이나 포장육에 표시하고 판매해야 합니다.
만일 이같은 의무사항을 지키지 않았을 경우, 500만원 이하의 벌금이나 과태료를 물어야 합니다.
투명한 유통과정을 인정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판매자들도 반기는 분위기입니다.
일단 22일부터 소의 출생과 양도·양수 등 사육단계에 대해 이력추적제가 적용되고,
내년 6월부터는 도축과 판매 등 유통단계에까지 적용이 완료돼, 휴대전화나 쇠고기
이력추적 사이트를 통해 필요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됩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보와이드 930 (76회) 클립영상
- 예산 조기집행 위해 절차 간소화 2:19
- 지방재정 확충 지역경제 살린다 1:49
- 서민·근로자 등 계층별 지원 확대 1:41
- 정부, 中企 정책금융 70% 상반기 지원 0:30
- "4대강 살리기, 지역경제 활성화 큰 도움" 0:36
- 내년 수출보험 170조원으로 확대 0:30
- 주택금융공사, 건설사 긴급자금 지원 0:31
- 역사교과서, 206곳 수정·보완 완료 2:21
- 역사교과서, 수정·보완 내용은? 2:22
- 적극적인 개방으로 국가경쟁력 강화 2:02
- '쇠고기 이력추적제' 사육단계 시행 2:28
- 한·일, 관광교류 확대 합의 1:39
- 김윤옥 여사, 사할린동포 복지회관 방문 1:46
- 유인촌 문화부 장관 '도라산' 장병 격려 2:11
- 수출전략형 신형원전 개발 앞당긴다 0:34
- 경제자유구역, 성과 따라 차등 지원 0:28
- 과학기술인, 내년부터 퇴직 연금 0:28
- 불법정보 인터넷 금융업체 38곳 적발 0:30
- '저탄소, 고효율 경제사회 만든다' - 에너지이용 합리화 기본계획 26:55
- 전문가가 되려는 후배들에게 1:09
- "불황을 넘어서다" 8:13
- '장애우, 노인' 여행지에서 케어 받는다! 9:09
- 문화의 창 4:23
- 외국 전문 인력 유치사업 2:37
- 오늘의 주요소식(단신) 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