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세 이상 노인들의 생활안정을 위해 지급하는 기초노령연금 대상자가 올해 크게 증가했습니다.
주거공제제도를 도입하는 등 요건이 한층 완화됐기 때문인데요, 정부는 이같은 요건완화로 올해 전체 노인의 70%가 기초노령연금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올 1월 기초노령연금 지급 대상자는 334만명으로 지난해 12월보다 46만명이 늘었습니다.
특히, 다른 소득 없이 집한 채만 있는 노인들을 위해 도입한 주거공제제도로 연금 사각지대에 놓인 노인들이 대거 노령연금 대상에 포함됐습니다.
따라서 대도시 지역에서 소득 없이 2억 2천만원 정도의 주택을 소유하고 있는 노인의 경우 과거에는 노령연금을 받지 못했지만 올해부터는 노령연금을 받을 수 있게 됐습니다.
보건복지가족부는 주거공제제도 도입으로 21만 명의 노인이 추가로 노령연금 혜택을 받게돼 올해 전체 노인인구의 70% 정도가 기초노령연금 혜택자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기초 노령연금 대상자는 65세 이상 노인으로 혼자사는 경우 월 소득인정액이 68만원 이하일 경우 매월 최대 8만4천원을 받게되고, 노인부부의 경우는 월 소득 108만 8천원 이하면 최대 13만4천원의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노령연금을 받기 위해서는 만 65세 생일이 지난 후 읍면동 사무소나 가까운 국민연금공단지사를 방문해 연금신청을 해야합니다.
KTV 박영일입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보와이드 930 (106회) 클립영상
- 집 앞으로 다가오는 작은도서관 8:28
- 지난해 규제개혁 1천200여건, 목표 96% 달성 1:41
- 규제개혁 가속···취약계층 보호 중점 1:58
- IMF 국장 "한국 내년 잠재성장률 회복" 0:41
- 이 대통령 "지금은 '긍정의 힘' 모을 때" 1:10
- 334만명 기초노령연금 혜택 1:47
- 다보스포럼 폐막···대한민국 위상 제고 2:32
- '국경서 식탁까지' 안전관리 강화 2:24
- 검단신도시 7만8백가구 공급 2:02
- 미군기지·주변, 2017년까지 21조원 투입 1:41
- '재미있는 과학'···과학 대중화 가속 2:08
- 전입신고 전국 어디서나 가능 0:31
- 유류오염 피해 보상 확대 추진 0:31
- 재당첨금지기간 절반 축소 추진 0:31
- 게임산업 정책토론회 개최 0:24
- 작년 현금영수증 발급액 20% 증가 0:21
- 정부 "힐러리 미 국무장관 방한" 0:17
- 겨울가뭄해소에 정책집중 33:25
- 연극으로 배운다 - 연극인 김진태 2:19
- 바다 생태계가 바뀌고 있다 10:46
- 문화의 창 - 역사를 살려내는 또 하나의 역사, 도편수 신응수 8: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