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지난해 10월 전국 초등학교 6학년과 중3, 고1 학생을 대상으로 치른 학업성취도를 평가 결과를 오늘 발표했습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이번 결과를 토대로 보조교사를 채용하는 등 학업 미달학생 수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기로 했는데요, 어떤 내용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지난해 전국적으로 실시된 학업성취도 평가는 '기초학력미달, 기초, 보통이상', 이렇게 3가지 단계로 나눠 공개됐습니다.
교육과학기술부가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기초학력 미달학생의 비율이 초등학교 6학년은 과목별 2% 전후로 나타난 반면 중학교 3학년과 고등학교 1학년은 10% 전후로 증가했습니다.
또한 수도권과, 비수도권 그리고 시와 도 지역 간 학생 성취도에 뚜렷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같은 지역에서도 학교마다 기초미달 학생의 비율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나 정부는 개별 학교의 공교육 수준이 학업성취도를 좌우한다고 분석했습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기초학력 미달 학생의 학업 성취도 향상을 위해 ‘뒤처지는 학생 없는 학교 만들기’정책을 마련했습니다.
이번 결과를 통해 기초학력 미달학생이 많은 1200여개교를 선정해 내년까지 집중 지원이 이뤄집니다.
선정된 학교는 교사 자격증을 가진 학습보조 인턴교사를 채용해 미달 학생을 책임지도하고 대학생을 활용한 일대일 지도방식인 멘토링에 필요한 장학금을 지원하는 동시에 학력 증진 프로그램 운영비도 지원할 계획입니다.
또한 학사운영과 우수교장및 교원초빙, 교원전보 등에 관한 학교장의 권한을 확대해 학교운영의 자율권을 대폭 강화할 수 있도록 유도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정부는 앞으로 학업성취도 향상정도를 파악하고 2012년부터는 이를 시도교육청 평가에 반영해 교부금 지원에 차등을 두는 등 학력미달 학생을 줄이는 데 학교의 책임을 강화한다는 방침입니다.
KTV 장유진입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보와이드 930 (116회) 클립영상
- 녹색성장위 출범 '녹색 선진국' 건설 3:04
- 전국 자전거 생활권 '보급률 30%로' 2:40
- '저탄소 생활인프라', 지능전력망·LED조명 2:10
- '녹색성장과 체육의 역할' 심포지엄 0:20
- 신빈곤층 임대주택 2천가구 공급 1:35
- 지방 공공기관도 '일자리 나누기' 2:51
- 노사협력·양보교섭으로 위기극복 1:51
- 중소기업 청년인턴 2만5천명 채용 1:47
- 작지만 강한 정부 '군살빼기' 4:43
- 지속적 규제완화 '미디어강국'으로 2:38
- 학업 미달학생 집중 지원, 보조교사 활용 2:13
- 해외여행객 위한 '인터넷등록제' 시행 0:32
- 미디어 융합시대 - 이제는 경쟁력 29:11
- 문화가 복지입니다 3:07
- 학원에서 해방된 아이들 15:18
- 중증질환, 진료비 부담 줄어든다 8:29
- 오늘의 주요소식(단신) 1:30
- 김수환 추기경 오늘 오후 선종 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