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환 추기경이 어제 저녁 선종했습니다.
빈소가 마련된 명동성당에는 추모객들의 발길이 이어졌습니다.
이명박 대통령은 나라의 큰 손실이라면서 애도의 뜻을 표했습니다.
김수환 추기경이 어제 오후 6시12분, 향년 87세로 선종했습니다.
김 추기경은 작년 7월부터 노환으로 서울 강남성모병원에 입원해 치료를 받아 왔습니다.
추기경은 마지막 순간까지 호흡기 없이 스스로 숨을 쉬었으며, 최근 만나는 사람에겐 늘 '고맙다'는 말을 했던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또 생전 밝혔던 기증 의사에 따라 두 사람에게 안구가 기증됐다고 천주교 관계자가 전했습니다.
이명박 대통령은 김 추기경의 선종 소식을 접한 뒤 “이 나라가 산업화와 민주화를 거쳐 오늘에 이르기까지 고비마다 국가 원로로서 큰 역할을 해 오셨던 추기경님을 잃은 것은 국가적으로 큰 손실”이라며 깊은 안타까움을 표시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오늘 열린 국무회의에서도 "나라를 위해 기도를 해 주셔서 큰 힘이 됐는데,이제 국가의 큰 어른을 잃게 됐다"면서 거듭 애도의 뜻을 나타냈습니다.
특히 고인의 안구기증과 관련해 "마지막 떠나는 순간까지 희생정신이라는 큰 메시지를 우리 모두에게 던졌다"면서 "그 정신을 본받아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대통령은 이어 국무위원 전체 이름으로 애도하고 장관들도 조문해 달라고 당부했습니다.
이에 앞서 한승수 국무총리는 어젯밤 명동성당에서 열린 추모미사에 참석해, 고인의 명목을 빌었습니다.
1922년 출생한 고인은 1951년 사제품을 받은 뒤 초대 마산교구장을 거쳐 1968년 대주교로 승품한 뒤 서울대교구장에 올랐습니다.
1969년 교황 바오로 6세에 의해 한국인 최초 추기경으로 서임됐고, 천주교 주교회의 의장, 아시아 천주교 주교회의 구성 준비위원장 등을 역임한 뒤 1998년 서울대교구장에서 은퇴했습니다.
특히 1987년 6월 민주화운동 때 권력에 맞서 싸우는 마지막 보루로 명동성당을 지켜내는 등 이 땅의 민주화에도 크게 기여했습니다.
종교인이자 사회지도자로서 큰 역할을 해 왔던 고인은 은퇴 뒤에도 북방 선교에 투신할 사제를 양성하기 위해 옹기장학회를 공동 설립하는 등 우리 사회에게 끊임없이 희망의 메시지를 전해왔습니다.
천주교 서울대교구는 고인의 빈소를 명동성당에 마련해 누구나 조문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장례미사는 오는 20일 오전 10시 명동성당에서 치러진 뒤 용인 천주교 성직자 묘지에 안장될 예정입니다.
KTV 김용남입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보와이드 930 (117회) 클립영상
- 교복나누기운동, U&I-Form 7:24
- 이 대통령 "체감지수와 괴리된 물가 챙겨야" 1:44
- 이 대통령 "국민보호에 만전 기할 것" 1:45
- 한미정상 4월 첫 단독회담 가능성 0:38
- 탈라바니 이라크 대통령 23일 방한 0:26
- 경제자유구역 SOC 지원 대폭 확대 1:35
- "투자자 권익보호, 알고 투자하세요" 2:45
- 과감한 규제개혁, 성장동력 확충 5:13
- "김 추기경 선종···나라의 큰 손실" 2:50
- 이 대통령, 故 김수환 추기경 조문 0:29
- "김 추기경, 이 대통령에 큰 힘" 1:43
- '장벽 허물기'로 경쟁력 강화 4:07
- 지역인재육성 지속 추진···올해 80억원 투입 1:56
- 결혼이주여성, 진료비·언어 부담 2:37
- S&P, 한국 국가신용등급 'A' 유지 0:26
- 외국인투자 활성화, 경제활력 불어넣는다 25:52
- 규제 일몰제 1편 2:32
- 한국영화의 힘, '독립영화' 13:36
- 희망연극 프로젝트, 대학로 사랑방 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