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의 일간지 '파이낸셜타임즈'가 한국의 단기외채가 외환보유액에 거의 육박해 안심할 수 없다고 보도했는데요.
정부는 이에 대해 즉각 반박자료를 내고, 우리 외채는 과도한 수준이 아니며, 외환보유액 역시 단기외채 상환에 충분한 수준이라고 밝혔습니다. 자세한 내용 보시겠습니다.
우리나라의 단기외채를 문제삼은 영국 파이낸셜타임즈의 보도에 대해, 정부는 단기외채가 과도한 수준이 아님을 조목조목 반박했습니다.
먼저 첫 번째 근거로, 총 외채 규모가 지난해말부터 감소세로 돌아섰고, 특히 유동외채가 지난해 9월을 정점으로 줄어들고 있다는 점을 들었습니다.
정부는 또, 세계 6위인 우리 외환보유액은 외채를 상환하는 데 충분한 수준이라며, 파이낸셜타임즈의 우려를 일축했습니다.
그러면서, 외환보유액에서 회사채를 제외하면, 보유고가 천7백억달러에 그친다는 주장이 있지만, 보유액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예치금과 국채, 자산담보부증권의 가치가 상승해, 외화보유액의 전체 시가는 장부가를 상회하는 수준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외환보유액의 대부분은 즉시 현금화가 가능한 자산으로 운용중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아울러 정부는 미국, 일본, 중국과의 통화스와프 체결로 외화수급에도 한층 여유가 있는 만큼, 이같은 외채 문제는 시장의 기우에 불과하다고 강조했습니다.
한편, 정부는 동유럽발 금융위기 또한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국내 금융회사의 동유럽권에 대한 투자규모가 총 자산의 0.11% 수준인 약 19억달러에 불과하기 때문입니다.
다만, 여전히 불안요인은 존재하는 만큼, 정부차원에서 동유럽 경제동향을 예의주시할 방침이라고 밝혔습니다.
KTV 이해림입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보와이드 모닝 (128회) 클립영상
- 이 대통령, 뉴질랜드 도착...오늘 정상회담 1:40
- 2월말 외환보유액 2천15억달러 1:17
- 단기외채 상환 '문제 없다' 1:51
- 2월 무역수지 33억달러 흑자 2:03
- 한·EU FTA 수석대표회담 오늘 개최 0:28
- 고용유지지원금 지급액 상향조정 2:15
- 확산되는 노사양보·고통분담 1:37
- 중소기업 현장애로 한번에 해결 1:58
- 조선시대 왕세자 성균관 '입학례' 재현 2:10
- 3층 이상 기존건물, 내진보강 추진 2:27
- '3無 3親', 식품안전 청정지역 지정 1:46
- 임신 중 위험약품, 이중 안전장치 2:00
- 노량진 수산시장 류양선 할머니 [릴레이 희망인터뷰] 2:39
- 오늘의 경제동향 2:39
- 난방비 줄이는 집 7:36
- 한국박물관 개관 100주년 23:13
- 수수료 없이 어디서나 노동민원 해결 6:49
- 책으로 여는 세상 - '세계의 지도를 바꾸는 새로운 미래가 온다' 13:26
- 규제 일몰제 3편 2:53
- 오늘의 주요소식(단신) 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