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가 어려워지면서 저소득 계층의 실업이 늘고 있는데요.
이런 가운에 정부와 민간에서 급여을 반납해 일자리를 만들려는 노력들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일자리나누기 사례를 함께 보겠습니다.
일자리 나누기가 공직사회와 민간등 사회 전반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습니다.
기획재정부는 각 부처 공무원들의 자율적인 월급 반납분을 소외 계층의 일자리 만들기에 지출하기로 하고, 구체적인 사용방법은 부처별로 정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각 부처의 월급 자진 반납은 3월에 지급되는 월급부터 적용되며 최대 100억 원의 재원이 마련될 것으로 추산되고 있습니다.
공직자들의 월급반납은 올해 정부 정책이 일자리 지키기와 창출에 맞춰진 데 따른 것으로 특히 경기 침체로 저소득층의 실업이 심해지고 있다는 점을 감안한 것입니다.
임금 삭감 등의 고통 분담을 통한 기업들의 일자리 나누기도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LG 그룹은 올해 대졸 4천명, 기능직 2천명등 모두 6천명을 신규 채용 하기로 했습니다.
이 가운데 당초 3천 명으로 잡았던 대졸 신규인력을 1천명 늘려 4천 명으로 확정했습니다.
추가된 천 명 중 5백 명은 인턴을 거친 뒤 정규직으로 진입시킨다는 계획입니다.
늘어난 1천명의 재원은 임원 연봉을 직급에 따라 기본급 기준 10~30%를 삭감하고 대졸 신입사원의 초임을 5~15% 줄여 마련할 방침입니다.
지난 주부터 계열사별로 채용을 시작한 삼성도 구체적인 수치가 나오진 않았지만 원래 계획보다 많은 인원을 뽑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인턴사원 채용 기업도 점차 늘고 있습니다.
포스코는 올해 1천 6백명의 인턴 사원을 고용하겠다고 밝혔고, 현대·기아차그룹도 대졸 인턴사원 1천 명을 추가로 뽑기로 했습니다.
또 산업은행은 일반 직원 초임을 20% 깎는 대신 올해 2백 명의 청년 인턴을 채용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산업은행은 또 인턴들의 취업경쟁력을 높이기위해 연수 및 어학프로그램 등도 제공할 예정입니다.
한편 월스트리트저널은 지난 4일 정부와 기업, 노조 등이 협력해 해고를 저지하고 있는 국가는 어느 곳에도 없다면서 우리나라의 일자리나누기를 소개했습니다.
노·사·민·정이 대타협한 일자리 지키기.
우리 경제가 가장먼저 위기를 탈출할 수 있는 디딤돌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해 봅니다.
KTV 김미정입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보와이드 모닝 (132회) 클립영상
- 이 대통령 '신아시아 외교' 발표 2:38
- 아시아국가 이익 대변 '중심국'으로 2:33
- "위기극복에 여·야 따로없어" 2:27
- GCC FTA 2차협상 개시 1:18
- 영세자영업자도 고용보험 가입 1:51
- 일자리나누기 민·관으로 확산 2:38
- 정부, 이민자 사회적응 지원 1:24
- 2011년부터 중·고교 경제교육 강화 0:22
- 해양경찰청장에 이길범 차장 내정 0:17
- 이명박 대통령이 제 10차 라디오 연설 9:16
- 이 대통령 '신아시아 외교구상' 의미 16:34
- 주간 정책 메모 2:17
- '아시아 외교 신협력시대' 연다 21:08
- 지금, 대한민국 1:41
- 정명훈과 함께 하는 음악이야기 15:30
- 오늘의 주요소식(단신) 0: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