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력을 바탕으로 한 글로벌 기업을 육성하기 위한 정부의 행보에 속도가 붙고 있습니다.
정부는 기술이전과 사업화를 촉진하기 위한 예산을, 지난해의 4배 이상으로 늘린다는 계획입니다.
대학이나 연구소가 개발한 기술을 기업에 이전하거나 사업화하는 데 쓰이는 기술이전·사업화 예산·정부가 이 예산을 작년의 4배 이상으로 늘리는 방안을 추진합니다.
지식경제부는 이 같은 내용을 뼈대로 하는 '제3차 기술이전·사업화 촉진계획'을 마련했다고 밝혔습니다.
3차 계획에 들어선 사업인 만큼 1~2차 계획에서 닦은 사업의 기반을 발판삼아, 실질적인 효과를 낼 수 있는 예산 지원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계획에 따르면 지난해 778억원으로 정부 전체 연구개발 예산 10조8천4백억원의 0.72%에 불과했던 기술이전ㆍ사업화 예산이, 단계적으로 정부 연구개발 투자의 3% 이상으로 늘어나게 됩니다.
올해 연구개발 예산이 12조3천억원임을 감안할 때, 3천억원 이상의 금액이 될 전망입니다.
또 기술기반 중소·중견기업이 연구개발과 사업화 등에 필요한 기술금융을 안정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도록, 당장 올해에 공공재원 600억원와 민간재원 2천400억원을 합쳐, 3천억원을 마련한다는 방침입니다.
여기에 기술기업의 창출과 성장 전 주기를 지원하는 기술금융 종합기관의 설립도 중장기적으로 검토할 계획입니다.
아울러 이미 우수한 수준의 기술기업들을 해외에 널리 알리기 위해 유럽의 EEN과 제3국 협력에 가입하고, 국제기술이전 사업화 컨퍼런스의 정례화를 통해 비즈니스 중심의 산·학·연 네트워크도 활성화한다는 방침입니다.
KTV 최고다입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보와이드 930 (136회) 클립영상
- 첨단장비, 내 것처럼 쓰세요 8:10
- 예멘 한국인사망, 신속대응팀 현지 급파 1:53
- "인공위성이라도 안보리 결의 위반" 1:39
- "3월 무역수지 40억달러 흑자 전망" 1:33
- 한·페루FTA '연내 타결' 향해 출발 1:58
- 기술이전·사업화 예산 대폭 증액 1:48
- 직업능력 개발계좌제 전국 확대 시행 1:55
- "금융 인턴, 효율적 관리 필요" 0:29
- 세계물포럼 개막, 한승수 총리 참석 2:07
- 개성공단 육로 통해 '귀환만 허용' 1:44
- 이 대통령, 샤류디 이란 사법부 수장 접견 0:31
- 시청보호시간 확대·프로그램 세부정보 1:42
- 폭력피해여성, 임대주택 지원 확대 1:40
- 민생침해사범 165명 1천193억원 추징 2:37
- 방송콘텐츠 엘리트스쿨 본격 운영 0:25
- 정책자금 부당알선 신고 100만원 포상 0:34
- 정부, 서민·취약계층 긴급 지원한다! 23:59
- 불법채권추심제 3:08
- "농기계, 이젠 빌려 쓰세요" 14:17
- 태고의 삶이 태어나다 -공주- 6:50
- 서울국제마라톤대회 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