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가정에서 청소로봇 정도는 흔하게들 쓰시죠.
우리나라가 개발한 서비스 로봇의 안전과 성능측정 표준기술이, 세계 최초로 국제표준으로 채택됐습니다.
국내 로봇제품의 세계시장 진입과 수출 증대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인간 대신 청소를 하고 물건을 나르며 요리를 하는 로봇.
영화속 로봇들은 표준화된 방법의 안전과 성능 측정을 거친 후 안전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작년을 기준으로 세계 로봇시장의 규모는 80억달러 수준.
로봇제품의 개발과 수요가 증가하면서, 사람과의 충돌이나 오작동 등의 위험을 막기 위한 국제표준의 마련이 끊임없이 요구돼 왔습니다.
이런 가운데, 우리나라가 국제표준화기구 ISO에 제안한 '로봇 안정성 평가기술'과, 국제전기기술위원회 IEC에 제안한 '청소로봇의 성능평가 방법'이 모두 국제표준으로 채택돼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정부는 특히 이번에 채택된 로봇 청소기의 평가 표준은, 지능을 가지고 자율적으로 움직이는 가전기기에 대한 별도의 기준이 없던 터에 마련된 것이어서, 그 의의가 더 크다고 평가했습니다.
정부는 이번에 채택된 국제표준이 아직 초기 단계인 로봇 기술의 세계시장 선점과 수출증대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KTV 박성욱입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경제 투데이 (12회) 클립영상
- 대한민국 국가브랜드, 세계 15위 목표 3:07
- 태권도, 국가브랜드 제고 '첨병'으로 2:20
- 대한민국 경제기적 세계로 확산 1:58
- 연매출 1천500억원 이상, 中企서 제외 1:43
- 이공계 인력육성, 1조5천억원 투자 0:22
- "녹색뉴딜 추진…2015년 세계물포럼 유치" 2:04
- 재정부 "美에 통화스와프 확대 요청" 0:32
- 주택연금 농특세 면제, 가입비용 줄어 0:29
- 비정규직법 개정, 대량해고 방지 6:35
- 세계 로봇 성능, 한국표준으로 평가 1:50
- 농산물 이력추적, 모든 농산물로 확대 1:26
- "한·EU FTA 타결, 한미FTA 긍정적 영향" 0:28
- 올해 광우병통제국 지위 획득 추진 0:28
- 오늘의 경제동향 1:37
- 알기 쉬운 경제용어 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