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생활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 중의 하나가 바로 디자인입니다.
요즘은 같은 제품이라도 디자인이 좋은 것이 더 많은 인기를 끌고 있는데요, 언제부턴가 산업의 하나로 평가받는 디자인의 문화적인 역할과 가치에 대해 모색해보는 시간이 마련됐습니다.
함께 보시겠습니다.
우리 주변에서 만날 수 있는 디자인으로는 산업디자인과 시각디자인, 패션 디자인과 실내디자인 등이 있습니다.
디자인은 모든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다른 나라에 비해 유독 문화가 아닌 산업과 기능적인 측면이 강합니다.
이런 가운데 디자인을 다시 문화로 돌려놓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는 심포지엄이 열렸습니다.
“디자인은 문화다”라는 주제로 국회도서관에서 열린 이번 심포지엄에는 각계의 유명 인사들이 참석해 디자인을 통한 국가 경쟁력 강화 방안에 대한 의견을 나눴습니다.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축사를 통해 요즘처럼 어려운 때일수록 디자인의 가치에 더욱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기조강연을 맡은 이어령 전 문화부 장관은 사람이 살아가는 현장에는 반드시 디자인이 있다면서 우리 민족은 색동옷이나 떡 같은 삶의 작은 부분에서도 디자인을 접목시켜 살아왔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발제를 맡은 박양우 중앙대 대외연구 부총장은 우리나라 디자인 정책은 경제 정책의 하나로 출발했다면서 효율적인 정책 시스템과 관련법 개정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또 정국현 삼성전자 상임 고문은 외국의 다양한 디자인 정책을 예로 들며 국가적인 디자인 기반 인프라가 부족한 것을 문제점으로 꼽았습니다.
이 밖에도 토론자들은 공공디자인을 통해 학교와 도시가 어떻게 바뀌는 지 등의 사례를 들며 디자인이 더 이상 전문가들만 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강조했습니다.
참석자들은 국가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 디자인을 더 이상 기능과 산업 중심이 아닌 문화로의 접근이 절실하다고 입을 모았습니다.
KTV 강명연입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보와이드 930 (138회) 클립영상
- 보건소에서 무료진료 받아요 7:42
- 한·EU FTA, 이르면 5월 가서명 2:04
- 對 중국 무역, 수출보험·마케팅 강화 1:54
- "추경 막바지, 복지전달체계 잘 돼야" 1:41
- 주택 전매제한 완화 오늘부터 조기시행 0:24
- 한은 "우리 경제 디플레이션 가능성 희박" 0:30
- 교육역량 강화 4천900억원 투입 1:57
- "어려울수록 인재양성에 투자해야" 1:29
- 이 대통령, 불교 대법회 참석 0:35
- 김윤옥 여사, 불필스님과 오찬 0:15
- 한 총리 '물과 재해' 행동계획 발표 2:10
- "상황 지속시 적절한 조치 취할 것" 2:15
- 개성공단 통행 이틀연속 정상 진행 0:24
- "방송광고 판매 경쟁체제 도입 바람직" 2:22
- 문화부, 문화정보화협의회 구성 0:24
- 연예매니지먼트업 등록제 입법 추진 0:29
- "영산강에 역사와 문화 담아야" 2:08
- '디자인은 문화다' 심포지엄 개최 2:39
- 외교부, 재외공관에 테러경계 강화 지시 0:21
- 주거안정 힘이 돼 드립니다 24:28
- 경제자유구역 특별법 3:08
- 조국위한 희생, 국가가 책임 12:14
- 백승빈 감독의 ‘장례식의 멤버’ 6:21
- 톡!톡! 정책정보 1:39
- 오늘의 주요소식(단신) 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