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적인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앞으로 20년이 채 되지 않아 치매노인 100만명 시대를 맞게 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정부는 치매 조기발견과 체계적 치료를 위한 대책을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현재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은 4년 전보다 84만명 늘어난 520만 명.
이 중 치매를 앓는 노인은 45만명으로 역시 10만명 늘었습니다.
고령화 사회로 빠르게 진입하면서 치매노인도 급증하는 추세입니다.
앞으로 20년이 채 되지 않아 치매노인수는 100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보입니다.
실제로 치매노인수는 꾸준히 증가해 오는 2030년이면 지금의 3배에 달할 것이라는 게 정부 조사 결과입니다.
특히 배우자가 없거나 담배를 피우는 경우에는 치매위험이 더 높아집니다.
이에 따라 보건복지가족부는 지난해 9월부터 추진해온 치매종합관리대책의 일부를 앞당겨 시행하는 방안을 내놨습니다.
당장 올해부터 치매 조기발견의 중요성을 감안해 70세, 74세 노인의 일반건강검진에 치매선별검사를 포함시키기로 했습니다.
또 치매조기검진사업을 실시하는 보건소도 지난해보다 70개 이상 늘려 올해 192개로 확대하고 내년에는 전국 모든 보건소에서 조기검진이 가능하도록 할 예정입니다.
이와 함께 저소득 치매노인에게 치료비와 관리비용을 지원하는 바우처제도를 내년까지 도입하고, 노인장기요양보험 대상자도 6만명 이상 확대한다는 계획입니다.
또 이번 조사 결과 치매 간병인 중 절반 이상이 환자의 상태를 제대로 파악하고 있지 못한 것으로 드러남에 따라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치매 전문교육도 실시할 예정입니다.
KTV 김관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책 포커스(2008~2010년 제작) (96회) 클립영상
- "선열의 대동단결 본받아 위기극복" 3:02
- 애국선열 유해 6위 봉환식 0:25
- "PSI, 조만간 참여시점 결정" 2:03
- 외교부, 태국체류 국민 신변안전 당부 0:34
- "미국, 한미FTA 비준 긍정적" 1:38
- "올해 경제성장률 -2%~0%" 0:37
- 1인기업 '우수 아이디어' 상업화 지원 1:11
- 외국인투자기업 경영성과 지속 개선 1:36
- "우량 中企에 자금공급 확대" 0:35
- 금융권 자본 확충 25조원 넘어 0:32
- 금융公, 아파트 중도금대출 전액보증 0:31
- 노후차량 교체, 세금 감면 어떻게? 2:07
- 학업성취도평가 개선 4:24
- "심각하게 생각...다각적 방안 검토" 1:25
- '장애인 정보누리터' 편의시설 제공 2:12
- 연예산업발전 입법방향 토론회 0:29
- 치매노인 급증...'조기치료' 역점 2:30
- 대부업체 대출미끼 통장요구 주의 1:17
- "위기극복·녹색성장 위해 우정사업 혁신" 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