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유출이나 금융전산망 해킹 등 사이버범죄는 날로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오늘 서울 교육문화회관에서는 사이버 위협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기 위해 사이버 안전의 날 행사가 열렸습니다.
그 규모와 유형도 대담하고 다양해져서 서버 다운이나 개인 정보 유출 뿐 아니라 국가 안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조직적인 사이버 테러도 더이상 영화 속 얘기만은 아닙니다.
실제 지난해 발생한 사이버 범죄 중 2만여건은 포털사이트를 통해 PC 100만대를 악성코드에 감염시킨 사건 등 사이버테러형 범죄였습니다.
이런 가운데 국가정보원 국가사이버센터 주최로 열린 사이버안전의 날 행사가 서울 양재동 교육문화회관에서 열렸습니다.
급증하는 사이버 위협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정보보호 기술을 높이기 위해 마련된 자리입니다.
행사에서는 국방 사이버위협실태를 비롯해 사이버침해사고 분석,인터넷 이용자 보호대책 등 다양한 분석과 정책이 소개됐습니다.
사이버범죄를 차단에 가장 큰 역할을 하고 있는 곳 가운데 하나가 바로 국정원 국가사이버안전센터입니다.
사이버안전센터는 지난 2004년 출범 이후 국가 정보통신망을 감시하는 24시간 보안관제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확대해왔고, 국방, 외교, 통신 등 10대 핵심전산망의 보안관제센터 구축을 지난해 완료함으로써 사이버 위협에 대한 실시간 대응체계가 마련된 상태입니다.
그 결과 급증하던 공공부문의 사이버 침해사고는 지난해 10월 이후 감소세로 접어들었습니다.
또 사이버범죄에 공동대응하기 위한 민관협력체계가 급물살을 타면서 첨단보안기술 개발도 탄력을 받고 있습니다.
국내최초로 개발된 3D 보안관제시스템입니다.
사이버상 공격을 받게 되면, 화면을 통해 바로 피해현황을 알 수 있습니다.
클릭 한번으로 사이버 공격을 가한 상대방의 국가와 장소, 공격패턴까지 파악이 가능한 이 기술은 상용화를 코앞에 두고 있습니다.
국정원은 최근 국경을 뛰어넘는 사이버테러가 급증함에 따라 미국, 일본 등의 보안전략기구와 협력체계를 통해 국제공조를 강화해나간다는 방침입니다.
KTV 김관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보와이드 930 (158회) 클립영상
- 이 대통령 "일부 경제지표 긍정 신호" 1:36
- "안보, 절대 흔들려서는 안돼" 0:34
- "추경, 통과 즉시 집행되도록 준비" 1:41
- 신도시 기업 비용부담 대폭 완화 1:10
- 공공부문 장애인 고용 3%까지 확대 1:23
- 저탄소 녹색항만 '그린포트' 추진 1:38
- 탄소성적 표지제품 국내최초 출시 1:36
- "한EU FTA, 내년 1월 발효 가능" 0:28
- 한·일 경제협의회 21일 서울서 개최 0:26
- 중소기업 23.4% 일자리 나누기 참여 0:22
- 관련국들, 북한 6자회담 복귀 촉구 1:52
- 정부 'PSI' 전면참여 주말 발표 1:21
- 미래 문화정책의 '청사진'은? 2:14
- 4대강 살리기 추진체계 확대 개편 0:30
- 상가가격 실거래가 기준 산정 추진 0:27
- '식재료 수출협회' 17일 출범 0:31
- 사이버 범죄, 실시간 대응으로 차단 3:00
- 장애인 정보제공 늘린다 [정책진단] 27:39
- 33년 베테랑 환경미화원 신순옥 [릴레이 희망인터뷰] 3:56
- 산불, 진화보다 예방이 우선 [현장포커스] 9:06
- 범죄예방 '한달음시스템서비스' [생활과 정책] 6:38
- 행정 형벌의 합리화 방안 3:19
- 양익준 감독 '똥파리' [날아라 독립영화] 7:00
- 지금 대한민국 2:01
- 오늘의 주요소식(단신) 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