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수명이 늘면서 일자리를 원하는 노인들은 갈수록 증가하고 있지만 경기침체로 일자리가 줄면서 가장 타격을 받는 계층이 바로 노인 세대입니다.
고령화 속도가 빠른 우리나라는 특히 노인 일자리를 늘리는 것이 노인 문제를 풀 열쇠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취재기자와 함께 노인 문제의 현 주소와 대안까지 자세한 내용 짚어보겠습니다.
이정연기자!
보통 노인이라고 하면 65세 이상을 기준으로 하는데 우리나라는 이미 고령화 사회에 진입했죠.
우리나라는 이미 2000년에 노인 인구 비율이 7%를 넘어서며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었고요, 지난해 고령화율 10.3%
현재 고령화율은 지난해 기준으로 10.3% 입니다.
2026년 초고령 사회 진입 현 통계치를 볼 때, 9년 뒤인 2018년엔 고령 사회, 그리고 2026년엔 인구 다섯 명 중 한 명이 노인인 초고령 사회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노인 부양을 위한 사회적 부담도 상당할 텐데요.
당장 경기가 어려우니까 노인 부양의 부담이 커지고, 방치되는 노인들도 늘어난 것 같은데, 어떻습니까.
서울 탑골공원과 종묘공원, 종로 3가역 일대는 매일 수천명의 어르신들이 시간을 보내는 집합소인데요.
최근엔 이곳을 찾는 이들이 더욱 늘고 있습니다.
노인 문제의 현실을 취재하기 위해 취재에 나선 실버 기자를 동행해봤는데요, 참고로 실버기자는 노인기자를 뜻합니다.
노인의 눈에 비친 노인 문제 과연 어떨까요.
보시죠.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보와이드 930 (163회) 클립영상
- "한미FTA, 경제위기 극복 돌파구" 1:35
- "IT 中企 제품, 정부가 먼저 사용" 1:55
- 54회 '정보통신의 날' 기념행사 열려 0:27
- 녹색기술 '가속' 인력 3만명 필요 2:19
- 우수 조달제품 판로확대 지원 2:04
- 전국 연안 대규모 '바다숲' 조성 1:25
- 국토부 '생태하천 조성 지침' 마련 0:27
- 재정차관 "양도세 중과 폐지 변함없어" 0:27
- 소비쿠폰 지급 관계법령 개정 0:33
- "北 협상 제안, 신중하게 검토" 1:46
- 청와대 "대화 모멘텀 마련, 탄력 대응" 1:35
- 생생경제 국민아이디어, 9천여건 제안 2:41
- 한-체코 경제협력협정...자동차 수출 가속 1:46
- 고용유지·확대 소득공제 혜택 1:42
- 집에서 '인터넷 중독 상담' 받으세요 0:27
- 보육지원금 허위수령시 1년간 지원 정지 0:27
- 어린이 보호포장 위반업체 엄단 1:55
- 민생추경 경제회복 앞당긴다 [정책진단] 26:08
- 75세 애처가 할아버지 박대원 [릴레이 희망인터뷰] 3:03
- 황혼의 일자리, 인생2막 연다 [현장 포커스] 12:56
- 학원비 피해 '이렇게 방지' [생활과 정책] 7:44
- 장현윤 감독 '무림일검의 사생활' [날아라 독립영화] 7:31
- 오늘의 주요소식(단신) 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