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위기가 닥치면서 영화계도 예외는 아닌데요, 불공정 거래와 불법 다운로드 등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영화계가 자정 노력에 나섰습니다.
최근 많은 인기를 얻고 있는 영화 박쥐와 개봉 예정인 마더를 비롯해 우리 영화 9편이 다음주 열리는 칸 국제영화제에 초청됐습니다.
이처럼 우리 영화가 세계적으로 인정을 받고 있지만 수익률 배분과 높은 개런티 등 영화계의 고질적인 문제에 경기 침체가 겹치면서 한국 영화계는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영화계 각 분야의 대표들이 한자리에 모여 불공정 행위에 대해 자정 노력을 하기로 상생협약을 선언했습니다.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장관도 상생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와 함께 영화진흥위원회는 영화산업 진흥정책을 발표했습니다.
먼저 2011년까지 극장 수입 일부를 차기작 제작에 지원하는 '자동 제작지원 제도'를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또 해외 공동제작에 쓰일 '중형 특수목적 펀드'를 2012년까지 천억원 규모로 조성하고 영화 제작에 필요한 자금을 민간 금융기관에서 빌릴 수 있도록 하는 대출 지급보증 계정도 내년까지 100억원 규모로 신설합니다.
이밖에도 독립영화, 예술영화, 다큐멘터리 등 다양성 영화에 대한 지원도 진흥정책에 포함됐습니다.
특히 올해 폐지되면서 독립영화계의 반발을 샀던 다양성 영화 개봉·마케팅 지원 제도도 다시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KTV 강명연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경제 투데이 (48회) 클립영상
- "노동 유연성, 최우선 국정과제" 1:28
- "확장적 정책 기조 당분간 유지" 1:53
- 민간소비·기업투자에 세제혜택 1:36
- 14일 한미 통상장관 'FTA 진전' 논의 0:33
- 한덕수 대사 "FTA 재협상 의사 없어" 0:34
- 가정폭력 피해자 '우선 입주권' 부여 1:26
- 종소세 불성실신고 5만4천명 중점관리 0:34
- 건설기업 체감경기 5개월 연속 상승 0:27
- 주택청약종합저축 226만명 가입 0:32
- 노사 상생문화 빠르게 확산 5:54
- 영화업계, 상생협약 선언식 열려 2:24
- 수술대 오른 공공기관 방만경영 2:24
- 오늘의 경제동향 1:40
- 알기 쉬운 경제용어 0:14
- 주택청약종합저축이란 [생활과 정책] 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