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앞서도 보셨듯이 정부는 '서비스 산업'의 활성화에서 우리 경제의 활로를 찾는다는 계획입니다.
일자리를 만들고 성장동력을 확충하기 위한 정부의 서비스 산업 선진화 방안, 먼저 주요 정책방향과 추진계획을 살펴보겠습니다.
선진국 경제의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는 서비스산업.
미국에선 월마트와 IBM 등 12개 서비스기업이, 기업 순위 30위 안에 들 정도로 큰 비중을 차지하지만, 우리는 30대 기업에 단 4개의 서비스기업 뿐입니다.
대신 그 동안 우리 경제를 지탱해온 것은 제조업이지만, 세계적인 경기침체로 제조업에서도 더 이상 예전같은 수출 증가를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을 맞고 있습니다.
정부가 서비스산업을 위기극복을 위한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키우기 위해 팔을 걷어붙인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서비스 분야가 일자리는 물론, 내수시장을 살릴 수 있는 해법이라는 판단입니다.
이미 지난해 3차례에 걸쳐 서비스산업 선진화 방안을 내놓았던 정부는, 이번에 9개 유망 분야를 확정해 발표했습니다.
부가가치와 고용창출.
서비스수지 개선효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것으로, 의료와 교육, 디자인, 방송통신 분야 등이 포함됐습니다.
정부 지원보다는 서비스 기업이 스스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제도를 손질하고, 특히 오랫동안 지적돼 왔던 제조업과의 차별을 해소하는 데 중점을 둔다는 계획입니다.
정부는 이번 대책에 이어, 오는 9월과 12월에도 서비스산업 투자 활성화 방안과 경쟁촉진 방안을 잇따라 내놓을 예정입니다.
아울러 서비스산업 선진화의 필요성에 대해, 일반 국민들에 대한 홍보에도 주력한다는 방침입니다.
KTV 이해림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보와이드 930 (174회) 클립영상
- "서비스분야 선진화 시급" 2:05
- 서비스산업 육성, 경제활로 연다 1:58
- 글로벌 교육환경, 신의료 서비스 구축 1:54
- 디자인 전문인력, 전문 물류기업 육성 2:18
- 이 대통령, 중앙아 2개국 순방 2:08
- 경제협력으로 '新 아시아 구상' 실현 1:43
- 여성채용 확대…고용장려금 기준 완화 1:48
- 과감한 개혁으로 선진 공기업 우뚝 2:47
- 신임 통계청장에 이인실 내정 0:19
- 자산 100억 이상 기업 종이어음 못쓴다 0:26
- 특허·상표 등 국제출원 쉬워진다 0:25
- 세계 확산 속 국내 소강 국면 3:13
- '인플루엔자 A' 대유행시 20억명 영향" 2:02
- "4대강, 지역에 실질적 혜택 줄 것" 2:09
- 정부, 어버이날 효행자 포상 0:15
- 청와대, 국산 돼지고기 시식 행사 0:16
- 정유사 공급가, ℓ당 최고·최저 17원 차 0:31
- 보즈워스 방한…"대화문 열려 있다" 1:39
- 녹색생활 실천 여성들이 나선다 24:29
- 청자 참외모양 병 [한국의 유물] 2:26
- 가정이란 무엇인가 [현장포커스] 12:08
- 금천 노인종합복지관 어버이날 행사 [지금 대한민국] 1:51
- 북 핵보유국 강조 의도는 10:21
- 산지 이용절차 간소화 및 편의제공 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