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전해드렸듯이 인터넷 부작용 가운데 심각한 것이 자살사이트인데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정부는 자살 정보를 실시간으로 삭제하고, 자살과 관련된 단어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했습니다.
지난달 23일, 강원도 양구에서 남녀 4명이 동반 자살을 시도했고, 이틀 뒤 경북 봉화에서도 남녀 2명이 목숨을 끊었습니다.
이들은 모두 인터넷 자살사이트나 블로그를 통해 만난 사람들입니다.
이처럼 신고·접수된 인터넷 자살사이트는 지난 2007년 4백80여건이던 것이 지난해엔 2배 가까이 증가했고, 이에 따라 정부는 자살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예방대책을 내놨습니다.
우선, 자살 관련 정보가 인터넷에서 쉽게 유통되고 있는 만큼, 자살과 관련된 용어 10여개를 포털간 사용을 금지하는 단어로 설정하기로 했습니다.
이와 함께, 그동안 포털 등 정보 통신 서비스사업자 자율에 맡겨왔던 불법 유해정보에 대한 자체 모니터링을 의무화하는 방안이 추진됩니다.
또 사이버 경찰과 함께 인터넷 자살 사이트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자살 관련 정보는 발견되는대로 즉시 삭제하기로 했습니다.
이외에도 정부는 자살을 시도하려는 사람들을 상담, 설득하는 자살위기대응팀을 2013년까지 전국 12개 시도에 확대 설치할 계획입니다.
KTV 신혜진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보와이드 930 (180회) 클립영상
- "특별정상회의, 관계발전 계기" 2:05
- 23일 한·EU 정상회담 개최 1:27
- 저신용층 전환대출 지원 확대 2:13
- 기업 지원예산 최대한 조기집행 2:02
- 연내 구조조정기금 20조원 투입 1:23
- 이 대통령 "다시 신발끈 조여 매야" 2:20
- 정부 "남북실무회담 다시 제의" 1:44
- 베트남인 환승객, 추정환자로 확인 0:27
- 벨기에 등 4개국 여행유의지역 지정 0:24
- 한 총리 '신종 플루' 백신준비 점검 0:17
- '사이버질서 확립 원년' 선포 2:35
- 인터넷 자살관련 '금칙어' 지정 1:39
- 5·18민주화운동 기념식 열려 0:29
- 희귀난치성질환 18종 부담 경감 0:24
- 물류·식품·의료 RFID로 '혁명' 3:20
- '실험실 창업' 600곳 이상 지원 1:41
- 국내 첫 쇄빙연구선 연말 출항 1:37
- 우리 전통주, 톡톡한 수출 효자 2:15
- 이 대통령 15차 라디오·인터넷 연설 다시 듣기 8:26
- 경인 아라뱃길로 녹색성장 선도 [정책진단] 23:19
- 북한산 진흥왕 순수비 [한국의 유물] 2:38
- 석면피해, 생활속에서 주의 [생활과 정책] 7:59
- 국산화에 이어 세계시장을 넘보다 오스템임플란트 [이것이 최고] 8:56
- 성년의 날 기념식 [지금 대한민국] 1:35
- 오늘의 주요소식(단신) 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