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주와 막걸리, 약주와 같은 우리 전통술이 세계 애주가들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습니다.
한류 열풍 등에 힘입어, 전통술이 수출 효자 노릇을 톡톡히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소주와 막걸리, 약주와 같은 전통 술의 수출이 해마다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국세청에 따르면 지난 한 해 주류 수출은 22만 7천ℓ로 한 해 전보다 23% 증가했으며, 아시아와 유럽 등 전 세계 65개국에 수출됐습니다.
이 중 소주는 8만 8천ℓ가 58개국으로 수출됐고, 수출액도 1억 달러를 돌파했습니다.
한국의 대표적 전통술인 막걸리도 전세계 13개국에 수출됐고, 수출 물량도 한 해 전에 비해 27%나 증가했습니다.
맥주는 한 해 전과 비교해 23% 증가한 7만 4천ℓ가 해외로 수출됐습니다.
특히 새로운 수출시장으로 떠오른 몽고의 경우, 맥주 시장의 70%를 우리 맥주가 점유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가별로는 일본이 수출 물량 중 58%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홍콩과 몽골, 중국, 미국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한편 지난해 국내 전체의 술 소비량도 늘었습니다.
지난해 성인 한 명당 마신 소주 소비량은 74병, 맥주는 110병으로, 전체 술 소비량은 전년보다 3.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위스키와 와인 소비량은 각각 10.6%와 12.5% 감소했고, 위스키 소비는 최근 5년 만에 가장 적었습니다.
국세청은 위스키와 와인 소비의 감소를 경기 불황과 환율 상승 등의 여파로 풀이했습니다.
KTV 김미정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보와이드 930 (180회) 클립영상
- "특별정상회의, 관계발전 계기" 2:05
- 23일 한·EU 정상회담 개최 1:27
- 저신용층 전환대출 지원 확대 2:13
- 기업 지원예산 최대한 조기집행 2:02
- 연내 구조조정기금 20조원 투입 1:23
- 이 대통령 "다시 신발끈 조여 매야" 2:20
- 정부 "남북실무회담 다시 제의" 1:44
- 베트남인 환승객, 추정환자로 확인 0:27
- 벨기에 등 4개국 여행유의지역 지정 0:24
- 한 총리 '신종 플루' 백신준비 점검 0:17
- '사이버질서 확립 원년' 선포 2:35
- 인터넷 자살관련 '금칙어' 지정 1:39
- 5·18민주화운동 기념식 열려 0:29
- 희귀난치성질환 18종 부담 경감 0:24
- 물류·식품·의료 RFID로 '혁명' 3:20
- '실험실 창업' 600곳 이상 지원 1:41
- 국내 첫 쇄빙연구선 연말 출항 1:37
- 우리 전통주, 톡톡한 수출 효자 2:15
- 이 대통령 15차 라디오·인터넷 연설 다시 듣기 8:26
- 경인 아라뱃길로 녹색성장 선도 [정책진단] 23:19
- 북한산 진흥왕 순수비 [한국의 유물] 2:38
- 석면피해, 생활속에서 주의 [생활과 정책] 7:59
- 국산화에 이어 세계시장을 넘보다 오스템임플란트 [이것이 최고] 8:56
- 성년의 날 기념식 [지금 대한민국] 1:35
- 오늘의 주요소식(단신) 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