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최근 발생한 죽창 시위와 관련해 엄정 대응 방침을 거듭 밝혔습니다.
불법시위 미검자는 신속히 검거하고 경찰 피해에 대해서는 손해배상을 청구해 책임을 끝까지 묻기로 했습니다.
지난 주말 대전 도심에서 벌어진 민주노총과 화물연대의 과격 폭력 시위, 시위대가 한동안 사라졌던 죽창을 다시 휘두르며 경찰에게 무차별 공격을 가했고, 그 결과 수많은 부상자가 발생했습니다.
이 같은 폭력시위는 노사분쟁과 북핵문제와 함께 한국의 국가브랜드를 떨어뜨리는 3가지 요인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정부가 최근 시위와 관련해 관계부처 장관회의를 갖고 대응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우선, 대전 불법시위 미검자에 대해 신속한 검거와 함께 형사조치를 하기로 했습니다.
특히 경찰 피해 등에 대해서는 민사상 손해배상을 청구해 그 책임을 지운다는 방침입니다.
아울러 도심 대규모 집회는 원칙적으로 불허하고 불법행위자는 현장 검거를 원칙적으로 세웠습니다.
화물연대의 운송거부 사태와 관련해서는 각종 정부혜택 중단을 포함해 운전면허 정지와 취소는 물론, 향후 운송업체와 협력계약을 하지 못하도록 한다는 방침입니다.
정부는 이같은 대응과 함께 국민경제를 볼모로한 어떤 불법 파업이나 폭력 시위에 대해 단호히 대처할 것을 거듭 밝혔습니다.
한승수 국무총리는 이와 관련해 불법 폭력 시위에 대해 준업하게 꾸짖는 사회분위기 조성에 국민들이 함께 노력해 달라고 당부했습니다.
KTV 유진향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보와이드 930 (182회) 클립영상
-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내달 1~2일 제주 개최 2:09
- 협력 공고화…신아시아 외교 '탄력' 1:32
- 국가경쟁력 27위…4계단 상승 1:51
- 불법시위자 신속 검거·손해배상 청구 2:08
- "실물경제 아직 회복국면 아니다" 0:33
- '희망근로 프로젝트' 임금 70% 현금 지급 0:32
- 노사상생 양보교섭 인증제 시행 1:43
- 정책기조 유지, 구조조정 지속 추진 2:03
- 이 대통령, 모내기 현장 방문 1:53
- 김치·라면 등 500개 식품 '특별관리' 2:00
- 내년부터 선진형 '이동수업' 실시 1:31
- 인플루엔자A 조기발견 체계 가동 0:22
- 시장, 자본시장법 빠르게 적응 4:17
- 발주자 선택권 강화, 부정행위시 퇴출 1:33
- 어업용 유류 면세혜택 축소 1:29
- DMZ, 평화·생명지대 횡단코스 개발 1:23
- 경기바닥 확인 본격 회복 시기는 [정책진단] 26:09
- 대학 축제 [지금 대한민국] 1:45
- 자살없는 건강한 사회 [현장포커스] 13:04
- 퇴직소득세 공제·환급조치 [생활과 정책] 6:40
- 정유미 감독 '먼지아이' [날아라 독립영화] 4:49
- 창업지원금으로 희망 찾은 일식조리사 김윤상 [릴레이 희망인터뷰] 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