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안전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그동안 크고 작은 먹을거리 안전문제로 국민들의 불안감이 가시지 않고 있는데요, 이런 가운데 정부가 생산부터 판매까지 전 과정에서 식품 안전을 강화하는 범정부적 로드맵을 마련했습니다.
식품의 제조·가공 방법이 다양해지고 식품 수입국이 더욱 늘어나면서 먹을거리에 대한 불안감은 사그라들지 않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생산부터 제조, 유통, 판매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식품안전을 강화하는 내용의 식품안전정책 로드맵을 마련했습니다.
우선 올 하반기부터 김치와 라면 등 식탁에 자주 오르는 식품 5백 개를 대상으로 특별 안전관리가 실시됩니다.
선정된 식품에 대해서는 유해물질 함량을 조사해 부적합하다고 판단되면 폐기와 판매 금지 처분이 내려집니다.
내년 하반기부터는 닭과 오리고기의 포장유통이 의무화됩니다.
그동안 하루에 5만 마리이상 도축하는 대규모 도축장에서만 포장이 의무화 됐지만 내년 하반기에는 그 대상이 모든 도축장으로 확대됩니다.
또 먹은 음식의 열량을 알려주는 프로그램 개발이 하반기부터 본격 착수됩니다.
이 시스템을 통해 건강을 위협하는 당과 나트륨, 트렌스 지방의 함량을 알 수 있어 식품섭취를 스스로 조절하는 것도 가능해질 전망입니다.
이와 함께 식품안전과 관련한 각종 위원회에 소비자와 업체 참여를 확대해 식품안전사고가 발생했을 때 실질적이고 발빠른 대처가 가능해 지도록 했습니다.
이 같은 계획이 담긴 식품안전정책 로드맵은 올 하반기부터 추진되며 2012년까지 선진국 수준의 식품안전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는 계획입니다.
KTV 장유진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보와이드 930 (182회) 클립영상
-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내달 1~2일 제주 개최 2:09
- 협력 공고화…신아시아 외교 '탄력' 1:32
- 국가경쟁력 27위…4계단 상승 1:51
- 불법시위자 신속 검거·손해배상 청구 2:08
- "실물경제 아직 회복국면 아니다" 0:33
- '희망근로 프로젝트' 임금 70% 현금 지급 0:32
- 노사상생 양보교섭 인증제 시행 1:43
- 정책기조 유지, 구조조정 지속 추진 2:03
- 이 대통령, 모내기 현장 방문 1:53
- 김치·라면 등 500개 식품 '특별관리' 2:00
- 내년부터 선진형 '이동수업' 실시 1:31
- 인플루엔자A 조기발견 체계 가동 0:22
- 시장, 자본시장법 빠르게 적응 4:17
- 발주자 선택권 강화, 부정행위시 퇴출 1:33
- 어업용 유류 면세혜택 축소 1:29
- DMZ, 평화·생명지대 횡단코스 개발 1:23
- 경기바닥 확인 본격 회복 시기는 [정책진단] 26:09
- 대학 축제 [지금 대한민국] 1:45
- 자살없는 건강한 사회 [현장포커스] 13:04
- 퇴직소득세 공제·환급조치 [생활과 정책] 6:40
- 정유미 감독 '먼지아이' [날아라 독립영화] 4:49
- 창업지원금으로 희망 찾은 일식조리사 김윤상 [릴레이 희망인터뷰] 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