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한미 정상회담은 지난해 4월 합의한 '21세기 전략적 동맹관계'를 한차원 더 높인 것으로 평가되고 있는데요, 이번 한미 정상회담의 의미를 짚어보겠습니다.
이번 한미 정상회담은 양국 동맹의 미래 청사진을 구체화하고 북핵에 대한 탄탄한 공조체제를 재확인했다는 데서 의미를 찾을 수 있습니다.
최근 2차 핵실험 등 잇따른 북한의 군사적 위협이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견고한 한미 연합방위 기조를 다시 확인하는 계기가 됐다는 것입니다.
두 정상이 채택한 `한미동맹을 위한 공동비전‘은 지난해 4월 이 대통령과 조지 부시 전 대통령이 합의한 `21세기 전략적 동맹관계'를 한차원 높게 구체화한 것입니다.
기존 군사·안보 분야는 물론 정치, 경제, 사회,문화 등 모든 분야에서 포괄적인 관계를 구축하자는 취지가 담겨 있습니다.
특히 한반도 유사시 미국이 핵우산 및 재래식 전략을 제공함으로써 위협을 제거한다는 내용의 `확장억지' 개념을 합의문에 명문화 한 것은 북한의 군사적 위협에 대한 실제적 견제장치를 마련한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또한 확장억지는 북한의 이른바 `통미봉남' 전략을 무력화하는 의미있는 조치로도 평가됩니다.
이와 함께 테러리즘, 기후변화 등 범세계적인 이슈에 대해서도 두 정상이 견해를 같이 한 것은 우리나라가 한반도와 동아시아를 벗어나 세계 10위의 경제규모에 걸맞은 `기여 외교'를 펼쳐야 한다는 의지를 천명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KTV 김용남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보와이드 모닝 (203회) 클립영상
- 한미 정상회담…"안보공약 확약" 2:25
- 이 대통령 "북, 과거 방식 안통해" 2:34
- 한·미, 포괄·전략동맹 격상 1:37
- 이 대통령, 미 의회에 북핵·FTA 협조 요청 0:36
- 한·미 정상, 선물도 '실용' 1:35
- 미 주요 언론 "한·미 공조 합의" 1:16
- JP모건, 한국 녹색산업에 대규모 투자 0:29
- 한미 최초 산업협력채널 마련 1:39
- "기업환경개선대책 마련, 다음달 발표" 1:20
- 생계형 벌금미납자, 사회봉사로 대체 1:36
- '농지연금' 2011년부터 도입 0:33
- 첨단기술로 살아나는 4대강 2:19
- 문화·예술 사회적 기업 200개 육성 1:53
- 아동·청소년, 인터넷 중독 정기진단 1:49
- '그린게임' 건강한 게임문화 정착 1:56
- 4대강 살리기 [오해와 진실] 2:03
- 경제 착시현상 발생 원인은 [오늘의 경제동향] 15:05
- 4대강 살리기 '국토 재창조' [정책&이슈] 19:48
- 30여 명의 정붙이 아이들 키우는 김성진·엄미자 부부 [릴레이 희망인터뷰] 3:38
- 최지영 감독 '바다 쪽으로, 한 뼘 더' [날아라 독립영화] 17:56
- 이 시각 주요소식(단신)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