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소프트웨어 문제는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닙니다.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불법 복제물에 대한 심각성을 공유하기 위해 관련업계와 간담회를 갖고, 먼저 공공부문부터 정품 소프트웨어 사용을 솔선수범 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우리나라의 불법 소프트웨어 복제율은 지난해 기준 43%로 OECD 평균이나 세계평균보다도 높습니다.
피해액도 6억2천만 달러로 세계 15위의 불명예까지 안았습니다.
이는 기업 사용 기준으로 개인의 불법 소프트웨어 사용까지 합치면 그 피해액은 상상을 초월합니다.
정부는 공공부문부터 정품 소프트웨어 사용 문화를 정착시켜 나가기 위해 팔을 걷어 붙였습니다.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은 소프트웨어 업계 대표들과 간담회를 갖고 강력한 소프트웨어 저작권 보호 의지를 나타냈습니다.
소프트웨어 업계 대표들은 우리나라가 올해 20년만에 미국 무역대표부의 지적재산권 감시 대상국에서 제외된 것을 높이 평가했습니다.
이와 함께 대중적인 영화나 음악, 게임과 달리 소프트웨어는 기업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콘텐츠 분야와 차별화된 저작권 보호 정책이 필요하다고 건의했습니다.
한편 간담회에 앞서 유장관은 업체를 방문해 직원들을 격려하고 내년도 공공부문 예산에 소프트웨어 구입비를 현실적으로 반영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TV 강명연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책 오늘 (2008~2010년 제작) (153회) 클립영상
- 방과후 학교, '엄마품 멘토링제' 도입 1:54
- 내년 최저임금 4천110원..2.75% 인상 0:24
- 하이브리드차 세제지원 요건 확정 1:27
- 남북실무회담 준비팀 오늘 방북 0:26
- 현인택 장관 "北 5억달러 요구 '수용 불가'" 0:32
- 서해 NLL 지킴이 '윤영하함' 1:52
- 산재보험 사각지대 해소, 보험료 할인 1:59
- 한미FTA 서명 2년···비준 총력 1:36
- 문화가 머무는 시장,'수유시장' 1:49
- 대한민국 콘텐츠, 세계 시장으로 2:00
- 불법 SW 근절···"공공부문 솔선수범" 2:24
- 국책연구기관 4대강 반대 '사실무근' 2:10
- 수인성 전염병 예방법 [생활과 정책] 7: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