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아세안 FTA가 발효된 지 올해로 2년째입니다.
우리나라는 특히 아세안 국가 중 베트남과의 교역액이 눈에 띄게 증가해, FTA가 무역교류 증대에 큰 도움이 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우리나라와 아세안 국가들과의 FTA 발효 2주년.
이 가운데 베트남과의 교역량이 눈에 띄게 늘었고, 우리 기업들의 베트남 진출도 가장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우리나라와 베트남의 교역액은 FTA 발효 전 2년 동안 107억 달러였던 것에서, 발효 이후 179억 달러로 76%나 증가했습니다.
우리나라는 베트남에 석유제품과 컴퓨터, 자동차, 철강 등을 주로 수출했고, 반대로 어류와 원유, 석탄 등을 주로 수입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발효 1년 후 무역흑자가 60억 달러에 이르렀고, 최근엔 글로벌 경제위기의 영향으로 잠시 주춤했지만, 여전히 44억달러 흑자를 기록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정부는 이달 말 양국 관세청장 회의, 오는 11월 호치민 현지 설명회 등을 통해, 베트남에 진출한 우리 기업들의 FTA 활용 효과를 극대화시킨다는 계획입니다.
전문가들도 베트남 공략을 발판으로, 동남아 지역에서의 입지를 넓혀가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권율 박사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베트남은 아세안 선점하기 위한 수출 전초기지..베트남, 캄보디아, 미얀마 잇는 인도차이나 영역 주목해야.."
우리 정부는 베트남을 전초기지 삼아, 아세안과의 FTA 효과를 더욱 증대시키는 데 주력한다는 전략입니다.
KTV 김민주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경제 투데이 (100회) 클립영상
- 이 대통령 "녹색성장, 시대적 과제" 1:30
- 건물 철거시 석면 사전조사 의무화 1:56
- '스마트 산업' 육성, 추경 300억원 투입 1:42
- 영세서민 국유지 사용료 낮아진다 1:28
- 전세임대, 서민 삶의질 개선 기여 2:06
- 정보공동 이용 확대…구비서류 축소 1:44
- 상반기 실업급여 수혜율 43.6% 1:29
- 한-베트남 교역 증대, 톡톡한 FTA 효과 1:52
- 지역관광 경쟁력 높인다 0:29
- 경제위기속 장애인 고용률 증가세 0:32
- "한미FTA, 6~9개월내 미 의회 승인" 0:33
- 오늘의 경제동향 2:18
- 알기 쉬운 경제용어 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