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공통뷰

기숙형고, 도.농간 교육격차 해소
등록일 : 2009.07.27
미니플레이

네, 앞서 전해드린 기숙형 고등학교는 마이스터고, 자율형 사립고와 더불어 이명박 정부의 고교 다양화 정책의 핵심입니다.

그렇다면 농산어촌 기숙형 고등학교는 어떤 곳인지 자세하게 알아봤습니다.

이명박 대통령이 방문한 충북 괴산고등학교는 도내 자율학교로 운영되다가 지난해 기숙형 고등학교로 선정됐습니다.

기숙사 내 부속시설을 활용한 심화 학습반과 자기주도학습 등의 맞춤형 진로지도가 시행되면서, 인근 지역의 고등학교로 빠져나가던 상위권 학생들의 비율도 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기숙형 고교는 농촌지역 학교의 인재유출을 막고 질 높은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 고교 다양화 정책 중 하나입니다.

기숙형 고교로 선정되면, 학력 향상 프로그램과 함께 다양한 방과후, 주말, 방학중 시간을 활용해 학생 수준에 맞는 맞춤형 교육이 가능해집니다.

뿐만 아니라 자율학교로 지정돼 교육과정과 학사운영 등에서의 자율성이 보장되고 교장공모제, 교사초빙제 등을 통해 우수 교원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또 재학생들은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으로 냉난방 시설, 실내 화장실 등을 갖춘 기숙사를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농촌지역의 교육여건을 개선하기 위해 정부는 지난해 전국 82곳의 고등학교를 기숙형 고교로 선정해 모두 3173억원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또 기숙형 고교가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선정된 학교 중 8곳을 모델학교로 선별해 새로운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재정 지원과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한편, 현재 기숙형 고교가 추진되면서 지역내 상위권 학생의 타지역 이탈이 줄어든 것은 물론 지원 사례가 늘면서 기숙형고교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가 나오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앞으로도 도시와의 교육격차를 줄이기 위해 전국 농산어촌지역에 양질의 교육여건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을 계속해나간다는 방침입니다.

또 군 단위 농산어촌 뿐만 아니라 교육여건이 열악한 도농 복합도시 읍면지역의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오는 9월 68곳을 추가 선정하기로 했습니다.

KTV 문은주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