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청자중 6내지 7명은 매일 지상파 방송을 시청한 것으로 조사되고 있습니다.
국민의 채널 선택권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는 현실이기 때문인데요.
미디어법 개정에 따라서 시청자와 콘텐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봤습니다.
우리나라에 등록된 지상파 사업자는 모두 47개입니다.
6월말 현재 등록된 PP사는 237개 방송통신위원회 조사로 따르면 이 중 180여개 기업이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렇다면 공중파와, PP사의 시청점유율을 얼마나 될까?
시청률 조사기관
TNS 미디어코리아에 따르면 지난 5월말 기준 KBS, MBC, SBS 3사의 시청점유율은 56.5%에
달합니다.
K.M.S 등 지상파 빅3 계열 PP사를 포함하면 시청점유율 합계는 70%를 훌쩍 넘어섭니다.
우리 시청자 10명중 6-7명은 매일 지상파의 프로그램을 보면서 하루를 보낸다고 할 수 있습니다.
MBC의 경우 지방에 19개 계열사를 두고 있고 SBS의 경우 10개의 지역 민방 사업자와 제휴를 맺고 있습니다.
국민 대다수는 지상파의 경우 빅3 가운데 하나의 채널을 선택할 수밖에 없는 형편입니다.
현재 우리나라 케이블TV 시청가구는 1천 5백만 세대에 이릅니다.
그러나 케이블 전체 시청가구를 합쳐도 지상파 빅3의 시청점유율을 따라가지 못하는 형편입니다.
지상파 빅3의 여론 장악력이 얼마나 높은지 잘 보여줍니다.
더구나 다수의 케이블 방송 채널이 어린이, 드마라, 스포츠 등 교양오락 성격을 띠고 방영 되고있지만 콘텐츠 의 만족도는 매우 낮습니다.
이번에 미디어법 개정은 폐쇄된 방송산업에 신규자본참여가 가능하게 함에 따라 그동안 한곳에 몰렸던 여론독과점 해소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또 신규 방송사업자의 참여는 양질의 콘텐츠로 경쟁해야 한다는 점에서 방송채널 선택권 확대와 다양한 볼거리를 시청자에게 제공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KTV 강석민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보와이드 6 (41회) 클립영상
- 이 대통령 "미디어법, 정치·이념적 해석 안돼" 2:39
- 8·15 특별사면, 생계형 150만명 1:59
- 이 대통령 "공교육만으로 대학 가도록 할 것" 2:18
- 콘텐츠 경쟁력 확보, 볼거리 는다 2:59
- 정부, 실업급여 확대 등 비정규직 대책 강화 2:08
- 직불제·보조금 통·폐합…자립 강화 2:37
- 국립생태원 착공식 개최 0:26
- 아리랑 2호, 3년간 활동…연장 가능 2:14
- 전국 곳곳 '자전거 네트워크' 구축 1:59
- 北 개인·기업에 금융제재 조치 시행 1:48
- 1874호 이행보고서 UN 안보리 제출 0:27
- 현인택 장관, 북한이탈주민 방문 0:28
- 동명부대 5진 파병 환송식 열려 0:22
- '그린카' 핵심부품 개발 적극 지원 1:46
- 징역형 상응 벌금형, 형평성 고려 2:01
- 이 시각 주요소식(단신) 0:49
- 제 20차 이명박 대통령 라디오 연설 18:48
- 도시광산 개발, 자원부국 꿈꾼다 [현장포커스] 11:32
- 광개토대왕릉비 탁본 [한국의 유물] 1:31
- '미디어빅뱅' 방송시장 어떻게 달라지나 [정책진단] 27:54
- 폭염피해 알고 대처하자 [생활과 정책] 7:35
- 오늘의 정책(전체) 13:36
- 미디어시장 재편, 무엇이 달라지나 [클릭! 경제브리핑] 4:33
- 한 총리 "희망근로, 생산적 사업 발굴해야" 2:10
- 코스피 1520선 안착 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