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전해드린 학자금 안심대출 제도로 인해 정부의 재정부담이 일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정부는 재정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소득산정과 징수 인프라 구축에도 심혈을 기울이기로 했습니다.
현재 40만명인 학자금 대출자가 이번 제도 개선으로 100만명 수준으로 늘 경우, 내년부터 5년간 연평균 1조 5천억원의 예산이 소요될 전망입니다.
하지만 정부는 학자금 대출제도 개선으로인한 재정부담은 일시적일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제도시행 초기에는 재정부담이 늘어나지만 일정기간 후 상환기일이 도래하기 시작하면 더 이상 늘지 않게 된다는 겁니다.
무엇보다 교육은 미래에 대한 투자이며 중산층과 서민 생활을 위해 시급하고 중요한 과제인 만큼, 다른 사업의 구조조정을 통해 재정에 주는 부담을 최소화 하기로 했습니다.
정부는 또 대출이후 상환이 원활하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와 관련해서는 소득포착과 징수 인프라 구축에 힘을 쏟는다는 방침입니다.
원리금 상환은 조세징수시스템과 연계해 원천 징수하고 외국의 사례 등을 검토해 충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기로 했습니다.
예를 들어 일정기간 이상 상환이 없을 경우에는 소득뿐 아니라 재산에 대해서도 조사를 실시해 상환액을 재산정하거나, 대졸 전업주부에 대해서는 가계소득을 기준으로 산정하는 방안을 마련한다는 겁니다.
학자금 대출제도 개선으로 대학이 마음대로 등록금을 인상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부는학자금 대출을 받지 않는 학생도 많기 때문에 등록금 인상에 대한 견제 심리는 현재와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이라는 설명입니다.
KTV 유진향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보와이드 모닝 (234회) 클립영상
- 이 대통령 "기업 구조조정, 고삐 늦추면 안돼" 1:44
- 상시적·제도적 구조조정 추진 2:31
- 이 대통령 "교육, 균등한 기회 제공돼야" 2:51
- 학자금 대출, 취업 후 상환 2:37
- 100만명 이상 혜택 받을 듯 3:03
- 징수인프라 구축, 재정부담 최소화 1:45
- 동의보감, 세계기록유산 등재 0:27
- 유인촌 장관 "취약계층 위한 문화복지사업 확대" 2:35
- 일자리 창출 외투기업에 현금 지원 1:23
- 남해안 규제 완화…투자 활성화 2:06
- 공공기관 온실가스 배출, IT로 줄인다 1:30
- 오늘의 경제동향 2:42
- 미디어 강국으로 도약하는 기회 [현장포커스] 7:06
- 인감증명 전면 개편 - 종이 인감증면서가 사라진다 [정책&이슈] 23:32
- 조선의 학자와 중국의 사신이 주고받은 시 [한국의 유물] 2:59
- 정창화 감독 '예라이샹' [KTV 시네마] 4:56
- 이야기가 있는 클래식 [음악이 흐르는 세상] 19:04
- 이 시각 주요소식(단신) 1:00